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리콜 지난해 총 1752건..1년 새 80% 증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2초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리콜 건수가 2013년 대비 80% 늘어, 사상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고 25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기본법 등 관련 법률에 따른 리콜 건수는 1752건이다. 2013년(973건)보다 779건 증가(80%)했다.

이는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관심이 커져 정부가 적극적으로 법을 집행하고 업계 또한 자발적 리콜을 자주 실시한 데 힘입은 결과라고 공정위는 분석했다.


리콜 유형별로는 정부의 리콜명령이 1136건(64.8%)으로 가장 많았다. 자진리콜(339건, 19.4%), 리콜권고(277건, 15.8%)가 뒤를 이었다. 모든 유형에서 전년 대비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13개 관련 법률 중 약사법(733건, 41.8%), 제품안전기본법(423건, 24.1%), 식품위생법(269건, 15.4%), 자동차관리법(164건, 9.4%) 등 4개 법률에 근거한 리콜이 약 90.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공정위는 스마트 컨슈머 홈페이지(www.smartconsumer.go.kr)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품목별 통합 리콜정보(해외 리콜정보 포함)를 제공하고 있다.


오행록 공정위 소비자안전정보과장은 "소비자 안전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스스로도 위해물품 의심 사례가 발생하면 제조사나 소관 부처에 적극적으로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