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南北 제2차 고위급접촉 곧 시작…입장차 좁힐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남과 북 고위당국자가 23일 오후 3시 판문점에서 제2차 고위급접촉을 갖고 지뢰도발 후 불거진 양측 간 군사적 충돌 위기상황 해소에 나선다.


앞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홍용표 통일부 장관 조(組)와 황병서 총정치국장-김양건 당 비서 조(組)는 22일 오후 6시 30분부터 9시간 45분에 달하는 마라톤 협상을 진행했으나 큰 그림의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고 정회했다.

1차 고위급접촉 후 청와대는 "이번 접촉에서 쌍방은 최근에 조성된 사태의 해결 방안과 앞으로의 남북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며 "쌍방 입장을 검토한 뒤 8월 23일 오후 3시부터 다시 접촉을 재개해 상호 입장의 차이에 대해 계속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민경욱 대변인을 통해 전했다. 예상보다 훨씬 길어진 접촉 시간에도 불구하고 민감한 부분에서 입장차를 좁히는 데까지 이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

南北 제2차 고위급접촉 곧 시작…입장차 좁힐까 22일 오후 남북 고위급 접촉이 전격적으로 이뤄진 가운데 김관진 국가안보실장(맨 오른쪽)과 황병서 북한 군총정치국장(맨 왼쪽)이 악수를 하고 있다. 뒤로 홍용표 통일부 장관(오른쪽에서 두번째)과 김양건 노동당비서(왼쪽에서 두번째)도 악수를 하고 있다. / 사진=통일부 제공
AD


정부는 고위급접촉에서 다루어진 의제들과, 양측의 정확한 입장 및 요구사항 등에 대해 일체 함구하고 있다. 협상이 진행 중인 만큼 북한을 자극하는 언론보도가 나올까 우려하는 탓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우리 쪽은 지뢰ㆍ포탄 도발이 북측 소행이었음을 인정하고, 사과 표명 및 재발방지 약속 등을 요구하고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이산가족 상봉 등 보다 넓은 범위에서 남북관계 개선 계기를 마련하려는 유인도 있을 수 있다. 반면 북측은 대북 심리전의 일환인 확성기 방송과 한미 군사훈련을 중단하라고 요구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민경욱 대변인이 1차 접촉 후 "남북 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고 전한 만큼, 최근의 우발적 충돌 사건이 5ㆍ24 조치 해제나 비무장지대 평화공원 조성 등 장기간 표류 중인 남북 현안을 단 번에 해소시킬 중대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