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 도발에 묻힌 '국회 이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北 도발에 묻힌 '국회 이슈'
AD

[아시아경제 홍유라 기자] 북한의 포격도발로 인해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정치권 긴장도 덩달아 고조되고 있다. 현안 관련 정쟁을 일삼던 여야는 한 목소리로 강력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다만 이로 인해 최근 불거졌던 국회 이슈들은 잠시 묻힌 모양새다.


지난 20일 일어난 북한의 군사적 도발 이후 ▲한 전 총리 유죄 ▲취업청탁 의혹 ▲국회의원 성추문 ▲노동개혁 등 최근 정치권을 뜨겁게 달궜던 쟁점들이 자취를 감췄다. 이처럼 중요하지만 잊힌 각종 국회 이슈. 그것들을 다시 한 번 되짚어 보고자 한다.

지난 20일 징역2년이 확정된 한 전 총리는 오는 24일 수감될 예정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에 대해 "야당 탄압이다"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유죄가 확정된 당일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도 "원통하고 참담하다"며 "법 제도 개선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사필귀정"이라며 "법은 만인에게 평등하다"는 입장이다.


자녀의 취업청탁 의혹 문제도 북 도발로 묻힌 이슈 중 하나다. 김태원 새누리당 의원과 윤후덕 새정치연합 의원의 취업청탁 의혹은 '국회의원 甲질' '현대판 음서제' 등의 비판을 불러일으키며 세간의 이목을 끌었었다. 이로 인해 지난 18일 새누리당 윤리위원회는 김 의원의 아들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한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새정치연합은 지난 17일 윤 의원을 당 윤리심판원에 직권 조사 요청했다.

잊힌 국회 이슈엔 반복되는 정치인 성추문 논란을 촉발시켰던 심학봉 의원의 성폭행 혐의도 있다. 심 의원은 지난달 13일 대구의 한 호텔에서 40대 여성 보험설계사를 성폭행한 혐의로 논란의 대상이 됐다.


이에 대해 국회 윤리심사자문위원회(위원장 손태규)는 지난 20일 성폭행 의혹에 휩싸여 새누리당을 탈당한 심 의원에 대해 만장일치로 징계가 필요하다고 결정했다. 징계 수위는 오늘 28일 2차 회의에서 논의하기로 결정됐다.


올 하반기 정치권의 최대 쟁점으로 급부상했던 노동개혁 논의도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북 도발에 맞서 여야가 한목소리로 "강력 대응"을 다짐함과 동시에 양당 간 이견으로 인한 다툼은 미뤄둔 모양새다. 노동개혁을 놓고 새누리당은 "이에 반대하는 미래세대에 큰 짐을 안겨주는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새정치연합은 "개혁이 아닌 개악이다"라며 반대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