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전, 석탄재에서 희토류금속 추출 기술 개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5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한국전력은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재에서 고부가 희소금속인 리튬(Li)을 90% 이상 추출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특허, 국제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이 연료로 사용된 후 나오는 재(석탄회)는 약 85%가 시멘트 몰탈이나 콘크리트 혼화제 등으로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매립장에 매립되고 있다.

국내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매년 790만t 가량이 발생하며, 현재 약 5700만t이 발전소 매립장에 매립됐다.


석탄회에는 리튬 이외에 LED나 영구자석의 핵심 원료로 사용되는 이트륨, 네오디뮴 등 희토류 금속도 농축돼 있다. 연간 발생되는 석탄회 가운데 1만8000t 가량 될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에는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석탄회에서 리튬을 추출했지만 세계적으로 연구단계에 머물러 있고 추출율은 약 10%에 불과했으나 한전이 독자 개발한 이번 공정기술은 마이크로파를 활용한 추출 방식으로 석탄회 1kg당 50~280mg정도가 포함된 리튬을 90% 이상 추출할 수 있다.


한전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순도 95% 이상의 탄산리튬을 생산하기 위한 추가 기술 개발과 석탄회에 함유된 희토류 금속을 리튬과 함께 동시 추출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현재 진행 중에 있다.


한전 관계자는 "현대 산업에 필수적인 전략적 광물인 리튬과 희토류 금속을 자체 공급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더불어 관련 기술을 세계시장에 수출하는 등 국가 경제적 이익을 창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