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열병식에서 선보일 신무기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中, 열병식에서 선보일 신무기는 군사전문가들은 시징핑시대의 군에서는 병력 수보다 군 현대화사업을 눈여겨 봐야한다고 지적한다.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최근 군사력 강화에 힘쓰고 있는 중국이 다음 달 3일 개최하는 '항일전쟁 승리 및 세계 반파시즘 전쟁 승리 70주년' 열병식에서 어떤 무기를 자랑할지 주목된다. 주요 2개국(G-2)으로 성장한 중국이 올해 열병식에서 최첨단 무기를 선보이며 군사력과 위상을 세계에 과시하고 남중국해 등에서 영토 분쟁 중인 주변국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낼 전망이다.

20일 군사전문가들은 중국이 올해 열병식에서 중국의 전략미사일 운용 부대인 제2포병이 현재 개발중인 것으로 알려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둥펑(東風ㆍDF)-31B'를 열병식에서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 작년 9월 첫 발사에 성공해 실전 배치를 앞둔 둥펑-31B의 사거리는 1만1200㎞로 미국 전역을 공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열병식에서 차세대 ICBM으로 주목받는 둥펑-41이 선보일지도 주목되고 있다. 사거리 1만4000∼1만5000㎞의 둥펑-41은 목표물 명중 오차율이 120m 이하로 둥펑-31A(300m)보다 훨씬 정교할 뿐 아니라 다탄두 장착기능(MIRV)도 갖추고 있어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핵미사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밖에 신형 전략폭격기 훙(轟)-6, 젠(殲)-10, 젠-11B 전투기 공중조기경보기 쿵징(空警)-2000 등 전력배치된 공군전력은 물론 해군의 젠-15, 젠쿵(殲空)-7, 최신 헬기 즈(直)-9, 즈-10, 즈-11 등도 열병식에 참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일 베이징 교외인 퉁저우(通州) 상공에서 진행된 리허설에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최대 규모인 189대의 군용기와 헬기를 투입한 것이 이런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중국 당국이 열병식을 통해 국제 위상 강화를 꾀하고 있어 열병식 참가 인원도 역대 최고가 될 가능성이 있다. 건국 60주년 국경절인 2009년 10월 1일 진행된 열병식에 동원된 중국군 병력은 8000여 명으로 10년 전 1만1천 명보다 줄었지만, 올해는 1만 명을 넘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열병식에는 중국의 7대 군구(육군)와 해군, 공군, 제2포병, 무장경찰(준군사조직), 지휘부인 군 4대 총부 직속단위 등에서 차출된 대원과 군 장비들이 참가한다.


한편,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열병식과 관련한 두 번째 기자회견을 20일 오전 개최한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열병식 영도소조 판공실 부주임인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작전부 취루이(曲叡) 부부장, 열병식 연합지휘부 판공실 상무 부주임인 왕순(王舜) 베이징군구 부참모장이 참석해 열병식 준비상황을 공개한다.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발표할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열병식 동원병력 규모나 선보일 무기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날 회견에서는 열병식에 참석하기로 한 외국정상들의 명단이 일부 공개될지도 관심이다. 중국은 이미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등에게 초청장을 발송했지만, 아직까지 이들의 참석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과 몽골 정상들이 참석을 확정 지은 상황이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