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롯데家 상처만 남긴 분쟁…앞으로의 과제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반 롯데 정서, 순환출자 개선, 상장 등 산적

롯데家 상처만 남긴 분쟁…앞으로의 과제는
AD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롯데그룹 경영권 다툼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던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총회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승리로 싱겁게 끝났다. '신동빈 시대'가 개막한 것이다.


17일 주총에서 일본 롯데홀딩스 주주들은 신 회장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경영을 추진하길 희망한다는 점에 뜻을 모았다.

이로써 형인 신동주 전 롯데홀딩스 부회장과의 경영권 분쟁을 사실상 일단락하고 한·일 롯데그룹은 신 회장 체제를 굳힌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의 출혈은 너무도 컸다. 부자·형제간 '막장 드라마'를 연출했고,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반감과 불신은 사그라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신 회장은 이번 사태에서 부친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과 형인 신 전 부회장과의 화해 없이 그룹 경영만을 논했다.


실제 지난 11일 대국민 사과 발표에서 신 회장은 부친·형과 타협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선 언제든지 대화할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경영권에 대해선 별도라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일본 롯데홀딩스 주총에서도 "경영과 가족의 문제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며 "회사의 경영은 법과 원칙에 의거해 운영해야 한다"고 잘라 말했다.


물론 이번 기회로 롯데그룹이 글로벌 기준에 걸맞은 회사로 탈바꿈하고 지배구조를 개선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신 회장의 독자적으로 호텔롯데의 상장과 순환출자 구조 해소 결정은 신 총괄회장이 행해온 그룹 경영과 달라 씁씁할 뒷맛을 남기게 했다.


특히 반 롯데 정서가 국민들 사이에 남아 있는 만큼 이미지 쇄신 노력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재계 관계자는 "경영권 분쟁 등과 상관없이 롯데그룹은 이미지 쇄신, 지배구조 개선에 총력을 기울려 국민들의 암묵적인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