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금 덜 내려 뇌물 주면 세무조사"…관련法 발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아시아경제 전슬기 기자]세금을 덜 내려 세무공무원에게 금품 제공을 한 납세자는 세무조사 혹은 재조사를 받도록 하는 법안이 추진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강석훈 새누리당 의원은 22일 세금을 줄이기 위해 뇌물을 주면 세무조사를 받거나 또는 재조사를 받는 '국세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 및 세금탈루 적발 권한을 가진 세무공무원에게 금품을 제공하거나 알선하는 행위는 납세자가 세무조사 대상으로부터 제외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질 가능성이 크다. 또 세금탈루 적발을 무마 및 축소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이는 금품을 제공하는 납세자의 세금탈루 개연성이 매우 높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재 국세기본법에는 공무원에게 금품을 제공한 납세자에 대해 세무조사 및 재조사를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돼 있지 않다. 다만 국세청의 '금품제공납세자 특별관리 규정'에 따라 금품제공납세자에 대한 세무조사를 실시하고 있을 뿐이다. 금품제공납세자에 대한 세무재조사가 필요한 경우라 하더라도 '국세기본법' 제81조의4에 의해 ‘조세탈루 혐의를 인정할 만한 명백한 자료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세무재조사를 시행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국세청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총58건의 금품제공납세자에 대한 세무조사 또는 재조사(조세탈루 혐의를 인정할 만한 명백한 자료가 있었던 경우만 해당)를 통해 무려 643억7200만원의 세금을 추가로 징수한 바 있다. 이는 금품제공납세자 1명당 평균 11억1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세탈루 혐의를 입증하지 못해 재조사 할 수 없었던 금품제공납세자까지 고려한다면 추징대상 금액은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개정안은 이러한 현재의 제도적 미비사항을 보완했다. 현행 국세기본법 제81조의6제3항에 ‘세무공무원에게 그 직무에 관하여 금품을 제공하거나 금품제공을 알선한 경우’를 추가하여 정기선정 세무조사 외에 특별세무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같은 법 제81조의4제2항에 동일한 사유를 추가하여 세무재조사를 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로 포함하도록 했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세무공무원에게 직무와 관련하여 금품을 제공하거나 금품제공을 알선한 금품제공납세자에 대해 조세탈루 혐의에 대한 구체적인 입증자료 없이도 세무조사 또는 세무재조사를 실시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강 의원은 “납세자들이 세무공무원에게 금품을 제공해 세금탈루를 시도하는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으나, 법적 근거부족으로 인해 추후에도 세금추징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허점이 있었다”며 “이번 개정안으로 납세자들이 세무공무원에 대한 금품 제공을 통한 세금탈루를 시도해도 결국에는 원래 냈어야 할 세금을 납부하게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식해 납세관련 비리가 근절되고 성실납세 풍토가 정착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전슬기 기자 sgj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