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가 오늘 열렸다. 이로써 삼성물산이 제일모직과의 합병을 결의하고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삼성물산의 지분 7.12%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시하면서 불거진 '엘리엇 사태'는 43일 만에 막을 내렸다. 삼성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상징성을 감안할 때 오늘 주총 결과가 가지는 의미는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이번 사태에서 얻은 교훈을 삼성을 비롯한 국내 대기업, 정부와 기관투자가들은 되새겨봐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로 우선 정부가 경영권 방어수단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필요성이 커졌다. 차등의결권, 주식 저가 매수권(포이즌필) 등을 공론화 과정을 거쳐 도입하는 것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의 말대로 지분율이 떨어진 재벌회사를 헤지펀드가 공격해서 무너지도록 한다면 재벌은 투자와 성장, 고용 대신 지배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일 게 뻔하다. 이는 성장과 일자리가 필요한 우리 경제에 큰 마이너스가 될 것이다.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리는 냉혹한 투기자본이라는 맹공을 받았지만 재벌들이 소액주주를 한 번 생각하도록 하는 등 엘리엇 사태로 우리 사회에 각성의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투기자본의 무차별적인 공격은 문제다. 하지만 그 빌미를 제공하는 허술한 경영 또한 문제다. 삼성은 엘리엇의 공격을 받고서야 배당성향을 30%로 높이고 거버넌스위원회를 신설하는 등의 약속을 했다. 미리미리 기업가치와 주주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소액주주들에게도 몸을 낮췄다면 사태가 이처럼 번지지는 않았을지도 모른다. 앞으로 삼성은 물론 다른 대기업들도 주주의 눈높이에 맞는 투명경영을 펼치는 주주친화적 기업으로 변신하는 모습을 실천으로 보여줘야 한다.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들의 역할 또한 정립돼야 한다. 특히 국민의 노후생활을 책임져야 하는 국민연금은 중장기 관점에서 또한 안정적 수익과 기업가치를 높인다는 차원에서 주주권을 행사할 때 확고한 기준과 원칙을 세우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번 주총으로 투기성 자본의 공격이 완전히 종식됐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시작일 수 있다. 엘리엇의 공세도 끝난 것은 아니다. 엘리엇이 투자자ㆍ국가 간 소송(ISD)으로 확전시킬 여지도 있고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소송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 기업들은 투명한 경영, 주주 존중의 경영, 글로벌 기준의 경영으로 투기자본의 먹잇감이 되지 않도록 해 더 이상의 빈틈을 보이지 않아야 할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