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격제한폭 확대 한 달, 주가급변↓거래규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 국내 주식시장이 가격제한폭 확대 조치 이후 가격발견기능 제고 및 개인투자자의 시장참여 확대로 안착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가격제한폭이 종전 ±15%에서 ±30%로 확대된 이후 상하한가 종목수가 줄었다.

올 들어 전거래일 기준 가격제한폭 확대 전후 국내 증시 일평균 상한가종목수는 18.7개에서 10.7개로, 하한가종목수는 4.1개에서 0.4개로 각각 감소했다.


코스닥시장의 경우 상한가 종목수는 12.3개에서 3.7개로, 하한가 종목수는 3.3개에서 0.2개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다만 우선주·중소형주 등 일부 저유동성 종목에 투기적 거래가 집중되며 유가증권시장의 상한가 종목수는 6.4개에서 7.0개로 소폭 증가했다.

거래소는 가격제한폭 확대로 가격의 정보반영 효율성 및 균형가격 발전기능이 제고되고 시작역동성이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이후 일평균 거래대금은 10조5000억원으로 18.0% 증가했고, 당초 변동성 확대로 이탈이 우려됐던 개인투자자 비중 역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각각 57.4%, 87.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소는 가격발견기능이 높아지면서 시장역동성 제고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주가급변 방지를 위해 도입된 정적·동적 변동성완화장치(VI)도 제 기능을 하고 있다는 평이다. 거래소에 따르면 동적 VI는 유가증권시장에서 일평균 72.6회, 코스닥시장에서 58.2회 발동하며 각각 2.0%포인트, 1.6%포인트 가격변동률을 완화시킨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변동성이 컸던 이달 6~10일 VI는 전체 일평균 대비 34.4%, 21.2% 증가한 171회, 88회씩 발동했다. 이 기간 코스피 지수변동성이 1.66%로 크게 증가했으나 중국(상하이 7.18%), 항셍(홍콩 4.51%) 등 주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 모습을 나타냈다. 거래소 관계자는 “VI 등이 변동성 축소 등 가격안정화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