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버티는 이인제·김한길, 난감한 검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2차례 출석요구 불응, 3차 소환 통보…망신주기·표적수사 논란도 검찰 부담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 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등이 소환에 불응하면서 검찰이 난감한 상황에 놓였다.


검찰은 조만간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을 둘러싼 의혹 수사를 마무리한 뒤 결과발표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소환거부’라는 변수가 불거지면서 차질을 빚고 있다.

29일 검찰에 따르면 해외 출국 일정을 마치고 돌아온 이인제 의원은 지난 27일 검찰에 출석하기로 했지만, 검찰 청사에 나타나지 않았다.


버티는 이인제·김한길, 난감한 검찰
AD

김한길 의원은 당 차원에서 검찰 소환을 ‘야당 탄압’으로 규정한 상황이어서 자발적인 출석이 이뤄질 가능성은 작은 상황이다.


이 의원은 2012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측근을 통해 성 전 회장으로부터 2000만원을 받았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김 의원은 2012년 5월 민주당 대표 경선 준비 과정에서 3000만원을 전달받았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의원들은 해당 의혹을 일축하며 ‘망신주기 수사’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미 2차례씩 소환에 불응한 상태다. 검찰은 6월 임시국회 회기 종료(7월7일) 일정이 남아 있는 관계로 체포영장 청구를 통해 해당 의원들을 소환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이 통과될 가능성도 작고, 검찰의 ‘무리수’를 둘러싼 역풍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검찰은 ‘성완종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8명 중 5명은 서면조사로 마무리하면서 ‘봐주기 수사’ 논란을 자초했다. 검찰이 다른 정치인에 대해 체포영장 청구라는 초강수를 두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검찰이 이 의원과 김 의원 역시 소환 대신 서면조사로 대체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지만, 실리와 명분 모두를 잃을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검찰은 이 의원과 김 의원을 둘러싼 의혹의 경우 ‘성완종 리스트’ 수사발표와 별개로 계속 수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소환 불응 중인 김한길, 이인제 의원에게 국회 회기 중인 점을 고려해 28일 다시 소환 통보(3차)를 했다”면서 “다양한 후속 조치는 계속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