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노동개혁, 청년실업 타개책 있나

시계아이콘01분 08초 소요

정부가 오늘 '제1차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노사정이 노동시장 구조개선의 원칙과 방향에 합의한 이후 100여 차례의 논의를 통해 마련한 5대 부문 36개 과제가 그 내용이다. 공공부문이 임금피크제와 성과연봉제를 먼저 도입해 확산하도록 하고, 원청기업이 하청기업의 근로조건 개선을 지원하도록 유도하며,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공공부문이 솔선해서 확대하는 것 등이 골자다. 임금피크제 적극 추진 등은 청년실업에 대한 대책이기도 하다.


정년 60세 시행을 불과 반년 앞두고 있으나 보완책으로 제시된 임금피크제 도입은 저조하다. 연공 중심 임금체계가 여전히 큰 흐름이다. 청년은 고용절벽으로 몰리고 장년 근로자는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가 노동개혁의 칼을 빼든 것은 이 같은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국가적인 과제인 노동시장 개혁에 공공기관이 앞장서도록 하면서 민간을 이끌도록 한 것은 공감할 만하다. 노동계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취업규칙 변경 절차와 기준을 명확히 하겠다는 점도 평가할 만하다. 인내심을 갖고 노동계를 설득하는 등 강력한 추진력을 발휘하기 바란다.

누구나 알고 있듯이 우리의 노동시장은 급속한 인구고령화와 경제활력 저하 등 여건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개혁의 시급성은 매우 크다. 고용구조는 경직돼 있고, 양극화는 극심하다. 저성장 속에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는다. 최근 경총이 37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4곳 중 1곳이 '올해 채용 계획을 결정하지 않았거나 유동적'이라고 답했다. 괜찮은 일자리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다. 늘어나는 일자리는 대부분 비정규직이다. 지난달 청년 실업률은 9.3%로 1999년 통계 변경 이후 5월 기준 최고치를 보였고 비정규직은 600만명을 넘어섰다.


정부는 이 같은 암울한 고용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세대 간 상생' '정규ㆍ 비정규직 간 상생'에 방점을 뒀다. 앞서 이뤄진 대타협 논의가 비정규직 사용연한 현장, 취업규칙 변경 등에 매몰돼 구조개혁 취지가 알려지지 않았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노동개혁은 반드시 이뤄내야 할 국가적 과제다. 그렇지 않으면 미래세대 청년이 좋은 일자리를 갖거나 장년층의 안정된 고용은 물론 기업ㆍ세대ㆍ고용형태 간 양극화 해소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정부가 독주해서는 안 된다. 정부가 노사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으니 경영계는 물론 노동계도 답을 내야 한다. 함께하는 노동개혁으로 활기찬 고용시장, 제대로 된 일자리 창출을 이뤄내야 할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