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준금리 1.50%]마이너스 금리시대…고민 깊어진 은행·소비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김모(67)씨는 예금에 넣은 5억원에서 나오는 2.4%대 이자 수익과 국민연금으로 생활을 한다. 1200만원이 1년 예금 이자인데, 여기에 이자 세금 15.4%를 제하고 김씨 손에 쥐어지는 돈은 한달에 84만6000원 가량이다. 아직 미혼인 자식을 감안하면 원금에 손을 대긴 어렵다. 김씨는 11일 기준금리가 1.50%로 0.25%포인트 인하됐다는 소식에 고민이 크다. 기준금리가 내리면 예금 이자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마침 예금 통장의 만기가 다가오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김씨는 "원금은 최대한 지키려고 했는데 쉽지 않을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한국은행이 3개월만에 기준금리를 또 내림에 따라 시장 금리도 내려갈 수밖에 없게 됐다. 이를 추가로 반영해 예금ㆍ대출 금리도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가 더 내려갈 가능성이 있어 여·수신금리도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며 "예대마진 축소등으로 수익성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돼 수신 금리의 추가 인하 폭 등을 검토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KB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다른 은행들도 시장 상황을 지켜보면서 예ㆍ적금 금리의 추가 인하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됨에 따라 시중에서 1년 만기 기준으로 연 1%후반대의 정기예ㆍ적금 상품은 더 이상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반대로 연 1%초반의 정기예ㆍ적금 상품은 더욱 늘어 이자 소득이 한층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의 대출금리도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 대출금리는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기준으로 은행 수신금리를 가중 평균해 산출하는 코픽스(COFIX)를 기준으로 움직인다. 은행연합회가 공시하는 4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78%로 지난해부터 최저치 경신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은행들은 수익의 90% 이상을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에서 나오는 이자수익에 의존하고 있는데, 최근 수년 새 저금리 추세가 이어지면서 예대금리차는 급격히 줄었다. 2005년 2.81%였던 순이자마진(NIM)은 올 1분기 1.63%로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한편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 1.5%로 0.25%포인트 추가 인하하면서 4대 은행의 NIM은 0.04∼0.09%포인트 떨어지고 이자이익은 최소 2760억원에서 최대 6848억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