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구와 그림, 오묘한 조화'…목수와 화가 2인展

시계아이콘02분 1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가구와 그림, 오묘한 조화'…목수와 화가 2인展 전시장 전경
AD


'가구와 그림, 오묘한 조화'…목수와 화가 2인展 목수 이정섭과 화가 김태호(왼쪽부터)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은은한 펄(pearl)감에 연한 파스텔 톤으로 가득 찬 그림. 절제된 디자인과 정교한 공법이 만나 완성된 목가구. 전시장을 가득 메운 그림과 가구에서는 단순하지만 가볍지 않은 무게감, 오묘한 조화가 느껴진다. 그림이나 가구에서 어떤 형상이나 이미지를 찾아보긴 힘들지만 휴식과 위안을 얻게 하는 힘이 있다.


목수와 화가가 만났다. 20년 가까운 나이 차이, 매체의 다름에도 이들의 감수성은 닮아 있었다. 목수 이정섭(44)과 화가 김태호(62). 두 사람이 처음으로 함께 전시를 열었다. '공간 드로잉'이라는 화가의 시리즈는 크고 작은, 단순한 색으로 그린 그림들로 구성된다. 벽에 걸리기도 하고, 땅에 뉘어 있기도, 때론 세워져 있기도 하다. 한 공간 안에 배치된 수많은 그림들이 하나의 작품을 이룬다. 화가의 그림과 어우러진 목수의 가구는 질 좋은 물푸레나무나 너도밤나무를 골라 수차례 건조시켜 육중한 느낌을 주는 검은색을 띤다. 의자와 선반, 서랍장 등 네모꼴 가구는 모던하면서도 100년 이상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다. 전시장엔 두 사람의 최근작 50여 점이 배치됐다.

두 사람은 10년 전부터 알고 지낸 사이인데, 두 달 전 진하게 한 잔 할 기회가 있었다. 저녁에 시작된 술자리가 이튿날 오후까지 이어졌다. 목수는 이때 "오랜만에 '삶이 대체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얘기를 나눴을 정도"였다고 고백했다. 술자리가 두 사람의 소통을 깊게 이끌었던 덕분일까. 화가는 "내가 2인전을 열자고 제안했다. 젊은 사람이 참 매력 있더라. 그리고 (손톱에 때가 낀)손이 참으로 좋았다. 눈도 참 선하고 맑다"며 목수를 향한 애정을 아낌없이 드러냈다. 과묵한 목수도 "김 선생님을 이전엔 잘 몰랐다. 작품만 보고 그냥 도회적인 분인 줄만 알았다. 그런데 깊이 알고 보니, 오해였다"고 했다.


'가구와 그림, 오묘한 조화'…목수와 화가 2인展 김태호, '공간 드로잉(Scape Drawing)', 2012년.


'가구와 그림, 오묘한 조화'…목수와 화가 2인展 이정섭, '구성'(Element), 2012년, 너도밤나무, 블랙우드.


목수 이정섭은 남이 그린 도안에 맞춰 가구를 짜는 그런 목수가 아니다. 그는 자신을 "창작과 기능으로 분업화되기 이전의 그 목수라고 보면 된다"며 "마르크스가 '거미는 본능적으로 집을 짓지만 목수는 생각하면서 집을 짓는다'고 했다. 그런 정의에 부합하는 목수"라고 했다. 그는 원래 서양화를 전공했지만, 어릴 적 손재주 좋은 큰 아버지가 동네(경남 사천)에서 50년 이상 가는 튼튼한 집을 짓던 모습을 늘 기억했다. 그래서 '집짓는 학교'라는 프로그램에 참가한 이후 지금까지 15년 동안 집을 짓고 가구를 만든다.


화가 김태호는 목수를 처음 만났을 때를 기억한다.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에 있는 어느 농가의 창고에서였다. 내촌에는 목수의 목공소도 있다. 목수는 당시 비어 있는 농가 창고를 빌려 예술가들을 모아 전시회를 열었는데, 참여 작가 가운데 김태호도 있었다. 목수는 농가 창고 전시회를 10년이나 이어왔다. 당시 목수는 전시회의 사회를 마을 이장에게 맡겼다. 그때 이장이 한 말이 화가에게 오랫동안 큰 울림으로 남았다.


"옛날엔 보릿고개를 넘기기 위해 곡식 저장소로 창고가 필요했는데 이제는 쌀이 남아 사정이 달라졌다. 예전엔 육신의 양식을 저장하는 창고였지만, 이제는 영혼의 양식을 넣는 곳으로 탈바꿈했다."


화가는 "잠방이를 입은 이장님이 연설을 해줬다. 최고의 감동이었다"고 기억했다. 김 화백이 이 목수와 함께 전시를 열고 싶어 한 이유는 '생활 노동의 아름다움'에 대한 예찬이 있어서였다. 화가는 "나는 예술이 그리 대단하다 생각하지 않는다. 화가보다는 목수가, 목수보다는 농부가 더 대단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 같은 사고 때문일까. 그의 그림 역시 노동집약적인 면이 많다. "사실 캔버스에 풍경이나 인물을 먼저 그려 넣어요. 그리고 수백 번 물감을 겹쳐서 그 모습들을 지워나가죠. 마치 눈이 오면 온 세상이 하얗게 뒤덮이는 것처럼요." 그는 "요즘 세상이 복잡하고 거칠어져서인지 작품들도 대체로 그런 현상이 많다. 나이 오십대 중반 이후가 되면서는 아무것도 없는 풍경이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라는 확신이 들었다"며 "내 그림으로 누군가 위로를 받고 편안해졌으면 한다"고 했다.


이번 전시의 제목은 '극단의 극복'이다. '미니멀리즘'이라는 양식주의에 치우친 평가를 넘어서고자 하는 작가들의 의지가 담겼다. 미니멀리즘(minimalism)이란 장식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표현을 아주 적게 하는 예술기법이다. 화가는 "색이 하나인 듯하지만, 사실 색이 겹쳐진 내 작품에는 색이 많다. 또한 그림 속에 표정과 감성이 있다"고 했다. 목수는 "사실 미니멀하게 작업하려던 게 아니다. 다만 무엇을 자르고, 간직해야 할지 고민한 결과일 뿐"이라며 "그렇게 욕심껏 진검승부를 하고 싶었을 뿐, 미니멀로 비춰지고 분류돼야 할 필요성에 동의하지 않는다. 왜 우리가 굳이 서양미술사의 정의에 규정돼 불려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전시는 오는 7월 5일까지. 서울 중구 소공로 신세계갤러리. 02-310-1922.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