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통상과 산업의 연계'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정부가 통상과 산업을 연계를 통해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제6차 통상교섭 민간자문위원회를 열고, 최근 통상환경변화에 대응한 신(新)통상 추진방향과 주요 통상현안에 대해 논의를 했다.

이날 위원회에는 안세영 위원장을 포함해 18명의 통상전문가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지난 2013년 신통상로드맵 추진 이후 FTA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FTA 활용기반을 마련하는 등 소통과 협업 구축 등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향후 신흥국과 FTA 추진과 효과적인 메가 FTA 대응 등 후속대책에 대해 토론했다.

이들은 중소·중견기업의 FTA 활용률을 높이고, 업종별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통상의 성과를 확산시키기 위한 세부전략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이외에도 세계무역기구 도하개발어젠다(WTO DDA) 작업계획과 복수국간 협상의 대응전략을 포함해 APEC 통상장관회의의 의제인 '지역경제통합 증진, 중소기업의 지역·세계시장 참여 활성화', 국익을 고려한 TPP 대응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윤상직 장관은 "민간자문위원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대외개방형 통상정책을 추진한 결과 거대경제권과 FTA 완료, 중남미와 중동 등 신흥국과의 활발한 경제외교라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어 "다만 최근 세계교역이 둔화되고 지역경제통합을 중심으로 통상환경이 변화하고 있다"며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신흥시장 확보와 실물경제 활성화를 위한 통상정책과 세부실천방안에 대해 고민해달라"고 요청했다.


민간 전문가들은 "정부가 중요한 현안에 대해 산업계나 농민과 소통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지역경제통합구도에서 경제적 실리를 얻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외정책과 산업의 내적역량을 긴밀히 연계한 선진통상정책을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통상교섭민간자문위원회는 산업부가 통상정책 수립과 협상에 대해 민간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만든 회의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