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평균 11주"…보조금 공시 주기 길어졌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착한텔레콤, 이통 3사 휴대폰 공시 모델 216개 분석 결과



"평균 11주"…보조금 공시 주기 길어졌다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하루에도 수시로 바뀌던 이동통신사의 보조금(지원금) 정책 주기가 크게 늘어났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단통법 이후 이통사들은 보조금 경쟁 대신 요금 경쟁으로 전환되는 분위기다.


18일 온라인 휴대폰 정보 사이트 착한텔레콤에 따르면 14일 기준 이동통신 3사의 보조금이 공시된 216개 휴대폰의 평균 변경 주기는 11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의 경우 68개 모델의 평균 공시보조금 변경 주기는 10주, KT의 87개 모델은 12주, LG유플러스 61개 모델의 평균 공시 보조금 변경 주기는 9주로 나타났다.

착한텔레콤은 "보조금이 크게 실리는 구형 모델의 수가 매일 한두개씩 늘어나는 것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보조금 공시 주기는 점점 더 길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단말기유통법에 따르면 이동통신사들은 단말기별로 일주일 간격으로 보조금을 바꿀 수 있지만 실제 보조금 공시 변동 주기는 이보다 훨씬 긴 것이다.


이는 단통법 이후 보조금이 투명하게 공개되면서 마케팅 정책으로서의 실효성이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최신 갤럭시S6의 경우 LG유플러스는 4월17일, SK텔레콤은 4월18일 이후 보조금 정책을 바꾸지 않고 있다.


대신 이동통신사들은 최근 데이터중심 요금제를 잇따라 출시하는 등 요금 경쟁에 돌입했다. KT와 LG유플러스가 2만원대 요금제에서 음성과 문자를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선보인 데 이어 SK텔레콤도 조만간 유사 요금제를 출시할 예정이다. KT 분리 요금제는 출시 4일만에 가입자가 10만명을 돌파하는 등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신형폰보다는 15개월 이상된 구형폰에 보조금이 몰리는 것도 특징이다. 이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착한텔레콤 측은 "가정의 달을 맞아 보급형 단말기 수요가 많고 이에 따라 통신사 입장에서는 재고를 소진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신 모델의 경우 기본 구매가(할부원금)이 원낙 높기 때문에 실제 판매 현장에서 애로를 겪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단말기 할부금뿐 아니라 요금제까지 고려하는 합리적인 통신 소비가 늘고 있는 것도 요인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보조금을 받는 대신 요금할인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분리요금제'의 할인 요율이 12%에서 20%로 늘어난 것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15개월이 지난 구형 모델은 단통법상 보조금 지급 상향액 규정을 받지 않아 분리요금제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