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청래 "주승용에 사과할 생각 없다…물귀신 작전 쓰지 말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정청래 "주승용에 사과할 생각 없다…물귀신 작전 쓰지 말길" 정청래. 사진=채널A 방송화면 캡처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사퇴 공갈'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정청래 최고위원이 주승용 최고위원에게 사과할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도중 정청래 최고위원의 "사퇴하지도 않으면서 사퇴할 것처럼 공갈치는 게 더 문제다"는 발언에 격분, 사퇴를 선언하고 퇴장했다.


정 최고위원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자신의 발언은)사퇴하란 뜻은 아니었다"며 "(주 최고위원에게)사과할 의향은 없다"고 밝혔다. 주 최고위원의 '지도부 총 사퇴 발언'에 대해서는 "그렇다고 또 물귀신 작전을 쓰면 안 된다"며 비판했다.

앞서 주 최고위원은 4.29 재·보궐선거 전패에 따른 최고위원직 사퇴 의지를 밝혔지만 "당내 만류가 있어 재고 중"이라며 "이번 주는 발언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그는 "발언을 자제하겠다고 말씀드렸지만 입이 간질거려서 한마디 하겠다"고 운을 뗀 뒤 "내 발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떻게 당내 문화와 패권주의를 혁파 하는가 문제였다"며 "제갈량의 원칙이었던 3공 정신, 공개·공정·공평을 되살리면 희망은 아직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 최고위원은 "공개·공정·공평 다 좋다. 그런데 사퇴하지도 않으면서 사퇴할 것처럼 공갈치는 게 더 문제"라며 "단결하는 데 협조했으면 좋겠다"고 주 최고위원을 비난했다.


그러자 주 최고위원은 정 최고위원을 향해 "공개석상에서 이런 말을 듣는 것이 정말 치욕적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내가 아무리 무식·무능하다고 해도 그런 식으로 당원들 대표인 최고위원에게 할 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격분했다.


이어 "사퇴하겠다. 모든 지도부들 그렇게 (사퇴)해야한다"며 회의장을 박차고 나갔다. 문재인 대표가 뒤따라갔지만 붙잡지 못해 자리로 되돌아왔다.


두 최고위원간의 갈등 격화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유감스럽다"며 단합을 재차 강조했다. 문 대표는 "오늘 있었던 발언은 우리끼리의 자리에서는 논하고 공개적인 자리에서 하는 것은 다소 부적절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금까지 당 운영에 있어서 당의 단합에 미흡한 부분 있었다면 고쳐나갈 것"이라며 "지금 우리에게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단합"이라고 강조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