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1년의 소용돌이에도 우린 달라지지 않았다 <3>리더십의 실종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세월호참사는 대한민국이란 국가에 두 가지가 없음을 증명했다. 하나는 위기대응 매뉴얼이며 또 하나는 위기대응 리더십이다. 전자의 부재는 눈앞에서 304명이 수장되는 광경을 무기력하게 지켜본 원시적 참사의 원인이 됐고, 후자의 부재는 5000만 국민의 가슴에 대못을 박고 나라를 두 패로 분열시켰다.
2014년 4월 16일의 '1차 참사' 후, 우리는 지난 1년 동안 '혼란과 분열'이라는 '2차 참사'를 겪어야 했다. 그것은 리더십의 참사였다. 사고의 원인 규명과 국가시스템 개조, 책임자 처벌과 공직사회 개편 등 과정에서 온 국민이 뜻을 모아 힘 있게 추진하고 이루어낸 것은 단 하나도 없었다. 정부와 국회의 모든 결정은 혼란을 부추길 뿐이었다. 사고수습ㆍ대책마련을 위한 방법ㆍ시기ㆍ인물ㆍ언어 등을 두고 국민과 정치권은 두 쪽으로 나뉘어 현재도 강하게 대립하고 있다. 해경은 세월호 침몰을 막아내지 못했고 이 나라의 지도자들은 대한민국의 추락을 조장했다.
대한민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왜 위기상황에서 국론을 모으기는커녕 허둥대고 분열을 조장하는가.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소장은 "시대적 흐름을 읽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단언했다. 최 소장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과 정홍원 국무총리, 각 부처 장관들이 세월호참사를 다룬 기본 바탕은 '정치공학적 대응법'에 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는 정치공학의 시대에서 정치심리의 시대로 넘어왔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이런 측면에서 대표적 리더십 실패 사례는 박 대통령의 실종자ㆍ희생자 가족들의 면담 요청 거절이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참사가 국정운영에 걸림돌이 되어선 안 되며 추모와 국가운영은 별개로 가야 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실천하려 했다. 이것은 국정운영의 편의성ㆍ효율성을 먼저 고려하는 정치공학적 리더십의 발로다.
박 대통령이 견지한 이 같은 리더십은 차분함ㆍ안정감ㆍ합리성 등 단어로 표현되기도 하며, 평상시 국정을 운영하는 데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정치공학적이 아닌 정치심리적 리더십, 특히 세월호참사와 같은 비극적 상황에서는 '감성리더십'을 적절히 발휘해야 했지만 박 대통령은 자신의 기본 성향을 넘어서지 못했다. 평상시의 차분함은 위기상황에서 '답답함'으로, 안정감은 '소극성'으로, 합리성은 '냉정함'으로 국민들에게 인식됐다.
보안을 중시하는 폐쇄적 의사결정 구조를 선호하는 박 대통령은 핵심 참모진이 자신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동시에 차단했다. 이것은 위기상황에서 박 대통령 리더십의 단점을 극대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박 대통령은 국정운영의 원활함을 확보함과 동시에 "세월호특별법은 국회에서 논의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 가족들의 면담요청을 거절했지만 결과적으로 두 가지 모두 얻어내지 못했다.
그렇다면 대통령을 포함한 정치지도자들은 세월호참사를 겪은 뒤 자신들의 리더십을 어떻게 개선하고 보완하고 있을까. 그리고 성과는 있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도 부정적이다.
세월호참사 이후에도 각종 안전 사건ㆍ사고가 다수 발생했고 인사파동, 정윤회 비선실세 논란 등 나라가 발칵 뒤집힌 사건은 지난 1년간 끊임없이 이어졌다. 일종의 '국가적 위기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사건들에서도 리더십의 부재는 여전했다.
'허둥대고, 질타받고, 미봉책을 (뒤늦게) 내놓는' 3단계 헛발질은 '성완종 리스트'라는 대형 사건에서도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위기상황에서 어떤 매뉴얼을 통해 어떤 리더십을 발휘해"국론을 모으고 사태를 수습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치지도자들의 뼈아픈 반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방증하는 것이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