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 연구결과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운전자 10명 가운데 4명은 운전 중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돌발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 등이 저하돼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만큼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교통안전공단은 수도권과 경상권 운전자 540명을 대상으로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 유형과 스마트폰 사용이 운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42%(중복응답)가 운전 중 SNS를 사용했다. 이어 교통정보(41.8%), 인터넷 검색(26.1%), 음악감상·어학(20.6%), TV·유튜브 시청(14.8%) 등의 순이었다.
또 21.3%는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교통사고가 발생했거나 그와 유사한 위험상황을 경험했다. 사고 당시 음성 통화 중이던 경우가 50.4%로 절반을 넘었다. 40.9%는 SNS사용, 16.5%는 인터넷 검색을 하다 사고 등 위험한 상황에 처했다.
공단 교통안전교육센터가 스마트폰 사용이 운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했더니, 돌발상황에 대한 반응시간이 느렸다. 실험은 긴급자동차 운전자 24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고 자유주행을 하거나 SNS 사용, 인터넷 검색 상황을 재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시속 50㎞로 달리던 중 돌발상황 회피 실험을 한 결과, 자유주행 조건에서는 83.3%가 성공했다. 그러나 SNS 사용과 인터넷 검색 조건에서는 각각 45.8%, 50%만 돌발상황을 피했다. 특히 돌발상황에 대한 운전자 반응시간 실험에서는 자유주행의 경우 0.545초였지만, SNS 사용은 0.605초, 인터넷 검색은 0.614초로 측정됐다.
공단 관계자는 "시속 50㎞로 주행할 때 돌발상황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차량이 약 1m 더 진행하게 되는 만큼, 보행자 사고 등 매우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표지판 인식 정확도 역시 자유주행 조건이 41.7%로 SNS 사용(20.8%), 인터넷 검색 조건(12.5%)에 비해 확연히 높였다.
미국 도로교통안전청(NHTSA)에 따르면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이나 DMB 시청 등을 하면 운전자의 반응시간이 도로교통법에서 음주운전으로 규정하고 있는 혈중 알콜농도 허용치 0.05% 보다 훨씬 높은 0.08% 수준으로 저하된다. 교통사고로 인한 중상가능성도 4배 이상 높아질 수 있다.
오영태 이사장은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이나 DMB 시청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교통안전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관련 사고 감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