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흡연자들 어쩌나"…서울시, 지하철역 출구 10m 이내 '금연구역' 지정 추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흡연자들 어쩌나"…서울시, 지하철역 출구 10m 이내 '금연구역' 지정 추진 서초구 금연구역 예시. 사진=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서울시의회가 시내 지하철역 출입구로부터 10m 이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조례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서울시의회는 서울시의 모든 지하철역 출입구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서울특별시 간접흡연 피해방지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의회 최판술(새정치민주연합, 중구1)·김혜련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동작2)이 지난달 27일 공동 발의한 개정안에 따르면 시 관할 구역의 지하철역 출입구로부터 10m 이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 조례안은 다음 달 개회하는 제259회 시의회 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상정된다.


서울시 관할 구역의 지하철역은 곧 개통을 앞둔 9호선 2단계 구간 5개 역사를 포함해 총 347개 역사로 이루어졌다. 이들 역사에 포함된 지하철역 출입구는 서울메트로(636개소), 코레일(211개소), 도시철도공사(615개소), 신분당선(15개소), 9호선 운영(115개소)로 모두 1592개소다.


출입구로부터 10m 이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규정에 따라, 총 15.92km에 달하는 거리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가 지정한 실외 금연구역은 금연광장 3개소(서울, 청계, 광화문), 시 관리 도시공원 (22개소), 중앙차로 버스정류소(339개소)로 이번 조례안이 통과되면 서울시의 실외 금연구역은 약 2천 여 곳 까지 확대된다. 조례안은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하철역 출입구 주변에서 흡연을 할 경우 10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


이번 개정안은 금연구역의 확대뿐만 아니라 금연지도원에 대한 합동교육과 위촉 및 운영하는 내용을 담아 금연 지도에 더욱 효과를 볼 수 있도록 개선된 것이 이전 법안들과는 다른 점이다.


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최의원은 “노약자와 청소년을 비롯한 불특정 다수인이 오고가는 지하철 출입구에서 빈번한 흡연행위가 발생하면서,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는 모습을 보고, 시민들의 건강을 보호하는 방안을 찾다보니 나오게 된 하나의 방안”이라고 밝혔다.


한편 서초구는 이번 달부터 구내 지하철역 출입구 10m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계도기간을 거쳐 7월부터 단속을 실시할 예정이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