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산공개]주택·토지정책 주무르는 국토부 장관 재산은 얼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오영태 교통안전공단 이사장 재산 71억 '땅부자'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주택ㆍ토지정책을 총괄하는 부처의 수장은 재산을 얼마나 모았을까.

의외로 많지는 않다. 26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보에 게재한 주요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에 따르면, 이달 취임한 유일호 국토부 장관의 재산은 지난해 말 기준 8억4900만원으로 신고했다. 종전보다 8400만원 정도 늘었다.


2년간 장관직을 수행하고 지난 13일 퇴임한 서승환 전 장관은 전년보다 600만원 가량 줄어든 10억1700만원을 신고했다. 주요 고위공직자 1825명의 가구당 평균 재산이 12억9200만원으로 집계된 것을 감안하면 전·현직 두 장관의 재산은 평균에는 못 미친다.

유 장관의 재산 상당부분은 토지가 차지한다. 유 장관은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 대지와 이천시 율면 대지와 임야, 묘지, 도로 등 4억6100만원 어치를 소유하고 있다.


건물은 전셋값을 많이 올려 논란이 됐던 서울 성동구 행당동 아파트와 중구 회현동 주상복합 등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지난해 행당동 아파트를 팔아 빚을 갚는데 썼다. 운보 김기창 선생의 미인도와 이당 김은호, 청전 이상범 선생의 그림 한점씩을 소유해 2200만원에 신고한 점은 눈에 띈다.


김경식 국토부 1차관과 여형구 2차관은 각각 6억1100만원과 10억100만원을 신고했다. 두 사람은 각각 1200만원과 9500만원 재산이 줄었다.


정병윤 국토도시실장 가족의 재산은 26억5900만원으로 국토부 고위 관료 중 가장 많았다. 이 중 절반 가량의 부모의 토지와 건물이 차지했다.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장 중에는 아주대 교수 출신인 오영태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의 재산이 71억47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오 이사장은 부산범일동, 중2동, 학장동, 가야동, 개금동과 경남 양산시, 울산 울주군 등의 본인 명의의 대지와 임야, 전, 답 등을 공시지가로 31억5900만원 어치 소유하고 있어 국토부와 산하 공공기관을 통틀어 '최고 땅부자'에 등극했다. 배우자 등 가족의 금융재산도 30억원을 넘었다.


이에 대해 오 이사장은 "토지는 부모님이 70~80년대 구입해서 상속해 준 것으로 최근에 구입한 토지는 없고, 배우자 역시 상속받은 재산을 팔아 금융자산이 많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학송 한국도로공사 사장은 34억5000만원(4억1700만원 감소), 최연혜 한국철도공사 사장은 23억6600만원(8200만원 증가), 이재영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은 22억3900만원(7억300만원 증가), 최계운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18억5900만원(2억600만원)을 신고했다.


서종대 한국감정원장은 17억2100만원(700만원 증가), 강영일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은 12억7100만원(6600만원 증가), 김영표 대한지적공사 사장은 11억3400만원(1300만원 감소), 박완수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전년과 비슷한 10억8100만원을, 김석기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9억4600만원(1억3700만원 증가)을 각각 재산으로 신고했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