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대형참사 사전예방…대규모 행사 일상감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市, 안전감사 종합계획 수립…부실공사·안전사고 부르는 하도급 부조리 처벌도 강화

서울시, 대형참사 사전예방…대규모 행사 일상감사 ▲지난해 경기도 성남시에서 발생한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현장(사진=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세월호참사,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등 지난해부터 잇달아 발생한 대형 재난·재해로 도시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다중들이 몰리는 시설이나 행사에 대한 안전감사 방안을 수립, 안전 위해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감사관 내에 신설된 '안전감사담당관'을 통해 '안전감사 종합계획' 수립을 마치고 최근 대형화·복잡화 된 재난·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본격적 안전감사에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먼저 시는 산하기관에서 보유 중인 총 360여건의 안전관리 매뉴얼을 집중 점검한다. 실제 매뉴얼이 현장에서 실효성을 갖고 활용 될 수 있는지를 살피는 등 소프트웨어적 부분에 중점을 두고 감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거나 위험이 있는 시설, 그간 감사에서 제외돼 왔지만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시설도 발굴해 감사한다. 특히 다중이 운집하는 체육시설, 관람시설, 거동이 불편한 계층이 머무르는 복지시설 등이 대표적이다.

올해부터는 대규모 다중이 모이는 행사에 대해 '일상감사'도 시행한다. 사업 계획단계에서부터 사업의 적법성, 타당성, 위험요인 등을 심사한다. 실제 시가 주최하는 다중 집객 공연·행사는 2013년 33개, 지난해 44개로 점증하는 추세다. 올해도 하이서울페스티벌, 광복 70주년 음악회 등 다수의 집객행사들이 개최된다.


하도급업체들의 권익이 현장안전과 직결된다는 지적에 따라 공정한 하도급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하도급부조리신고센터' 운영도 강화된다. 신고 대상을 민간공사까지 확대, 부실시공과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불법·불공정 하도급 행위에 대해서는 영업정지, 입찰제한, 관계자 문책 등 엄중한 조치를 단행할 예정이다.


김기영 시 감사관은 "올해 출범한 안전관리담당관은 대형화?복합화 된 재난?안전사고에 사전에 대비해 시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라며 "안전 유지관리 시스템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안전 위해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