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朴대통령, 내일 中·日 외교장관 접견…사드·AIIB 논의 분수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한중일 3국 정상회담 개최여부도 논의할 듯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21일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중ㆍ일 외교장관을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접견한다. 한중일 3국 관계개선과 이를 통한 정상회담 개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도입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가입 등 동북아지역 현안의 향배를 가르는 중대 분수령도 될 전망이다.


20일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21일 오후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 앞서 윤병세 외교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을 청와대에서 사전 접견한다. 이번 3국 외교장관회의는 3년 만에 개최되는 것으로, 3국 협력 현황과 발전방향을 평가하며 지역 정세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다.

핵심 의제는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사드 도입, AIIB 가입 문제가 될 전망이다. 중국 입장에선 사드 도입에 대한 반대의견과 한국의 AIIB 가입을 촉구하는 의견을 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한 현재 우리 정부의 입장은 "국익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주도적으로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중국 측에 이 같은 원론적 입장을 전달할 것인지 혹은 또 다른 승부수를 던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본과는 과거사 인식문제가 대화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한일관계 개선 의지를 재차 피력하고, 전제조건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전향적인 조치를 촉구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박 대통령이 중·일 외교장관을 직접 만나기로 전격 결정한 것은 급박하게 돌아가는 동북아 안보상황에서 한중일 3국이 이런저런 문제로 불편한 관계를 지속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의 발로로 풀이된다. 또한 사드ㆍAIIB 문제로 한중ㆍ한미 간 파열음이 생길 여지를 사전 차단하겠다는 의도도 강하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접견이 한중일 3국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중대 연결고리가 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