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종길의 스피드건]도쿄올림픽 아시아 2등 노리는 일본

시계아이콘00분 4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이종길의 스피드건]도쿄올림픽 아시아 2등 노리는 일본 인천아시안게임에서 삼성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된 하기노 고스케[사진=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 제공]
AD


2020년 도쿄올림픽을 유치한 일본은 최근 정부의 주도 아래 메달 획득에 열을 올린다. 기존처럼 주력 종목을 운영하면서 그 외의 종목에서 유망한 선수를 발굴 및 육성한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지난해부터 시행하는 '도쿄올림픽 육성 강화 프로젝트'다.

지난해 12월에 사업을 위탁받은 일본스포츠진흥센터(JSC)는 새 주력 종목 아홉 개를 선정했다. 남자 탁구, 남녀 테니스, 여자 트라이애슬론, 남자 수영 자유형, 남녀 육상 경보, 남녀 사격 소총 등이다. 한국이 경쟁력을 갖춘 종목이 다수 포함됐다.


JSC 스포츠개발사업추진부의 아베 아츠시는 "기존 주력 종목만을 두드려서는 종합 순위를 올릴 수 없다"고 했다. 그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델은 한국이다. 일본은 2012년 런던대회에서 사상 최다인 메달 서른여덟 개를 땄지만 금메달이 일곱 개에 머물러 11위를 했다. 한국은 총 메달(28개)에서 일본에 뒤졌지만 금메달 열세 개로 5위를 했다. 이 점을 주목한 일본은 올해 세계대회 8위권 입상자를 지칭하는 메달 잠재력 선수(MPA)를 최대한 늘릴 방침이다.


JSC의 분석 자료에 따르면 런던올림픽 메달 962개 중 605개(63%)가 MPA에게 돌아갔다. 미국, 중국, 영국, 러시아, 한국 등 상위 다섯 나라의 평균 MPA 보유수는 141명. 일본은 80명에 그쳤다. 개선을 위해 육성ㆍ강화 시스템 구축의 전문가인 로저 잭슨과도 활발하게 교류한다.


잭슨은 2010년 밴쿠버동계올림픽에서 캐나다의 '안방 징크스'를 깬 주역으로 통한다. 1억1800만달러(약 1333억원)가 투입된 올림픽 금메달 전략 '탑 시크리트 프로젝트'를 만들어 1976년 몬트리올과 1988년 캘거리대회에서 금메달을 한 개도 따지 못한 캐나다를 종합우승(금14ㆍ은7ㆍ동5)으로 이끌었다. 일본은 이번 프로젝트에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 2위를 지켜온 한국에겐 상당히 위협적인 신호탄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