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체부 "평창동계올림픽 분산 개최는 없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김종덕 장관 "북한 마식령 스키장과의 분산 개최 논의 역시 없다"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정부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가능성에 대해 "더 이상 분산 개최 논란은 없다"며 평창 단일 개최를 재확인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완구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2018 평창동계올림픽 대회 및 장애인올림픽대회 지원위원회' 확대회의를 열고 이 같은 사항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특히, 유일하게 경기장이 결정되지 않은 스노보드/프리스타일 경기를 보광 휘닉스파크에서 열기로 최종 결정했다. 휘닉스파크는 그동안 경기장 사용료 문제로 정부 측과 의견 차이를 보여왔다.


3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평창선수촌은 민간기업이 건설해 제공한 후 일반 분양 시 법령 개정을 통해 재산세 중과세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해결점을 찾았다.

김종덕 문체부 장관은 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이로써 대회 3년, 시범 경기(테스트 이벤트) 1년을 앞두고 지속됐던 논란을 정부 내에서 최종적으로 정리하고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준비하는 데 더욱 집중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그간 분산개최에 대해 논의한 것은 국민 세금을 아끼자는 노력의 차원이었지만 그런 부분들이 다 정리가 됐기 때문에 더 이상의 논의는 없을 것"이라고 확실하게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또 "북한 마식령 스키장과의 분산 개최 논의 역시 마찬가지"이며 "평화 올림픽을 열자는 취지로 북한 선수단의 참여를 바라고 있지만 분산개최는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 문체부 등 관계부처와 강원도는 올림픽 경기장에서 충분히 훈련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스켈레톤 국가대표 윤성빈 선수의 건의를 수렴, 선수 중심의 경기장 건설과 경기장 조기 준공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정부차원에서는 예산, 조직위 조직 확충, 우수 공무원 조직위 파견, 각종 시설 인프라 등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3단계 조직개편을 앞두고 있는 조직위에 올해와 내년 각 부처에서 공모를 통해 선발된 우수인력 101명을 파견하고, 국내외 민간전문인력 선발을 위한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