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민생정책혁신위에 '민간자문단' 신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새누리당이 정책기능 강화를 위해 당내 가칭 '민간자문단'을 신설한다. 최근 당정청은 당이 정책을 주도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는데, 민간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이 정치권과 국민의 가교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김세연 민생정책혁신위원장은 2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정책을 만들기 위해 민간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자문단을 구성하기 시작했다"면서 "현재 영입대상자들을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자문단은 경제, 사회 등 각 분야 전문가들 위주로 구성되며 당 정책위원회 산하 민생정책혁신위에 설치된다.

민간자문단이 주목받는 이유는 민생정책혁신위의 무게 때문이다. 유승민 원내대표와 원유철 정책위의장은 지난달 선출 직후 당의 비전과 민생경제 살리기 관련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민생정책혁신위를 신설했다. 정책위의 실무 역할을 민생정책혁신위가 맡는다면, 민심을 정책으로 반영하는 핵심 역할은 자문단이 담당하는 셈이다.


새누리당은 당초 민간 전문가가 아닌 당내 의원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하는 민생정책혁신위를 구상했다. 하지만 당 내부에서 정책 역량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면서 국민과의 접점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자문단을 꺼낸 것이다. 정책위 규모를 늘려도 인원이 정부 부처 보다 턱없이 적고 민심을 좇다보면 정책이 포퓰리즘으로 흐를 가능성이 커지지 않겠냐는 게 우려의 핵심이다.

원유철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최근 기자와의 통화에서 "정책을 당이 주도하는 것에 대해 당 안팎에서 염려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건강보험료와 연말정산 사태와 같이 정부 정책이 혼선을 빚고 민심이 이반되는 사태가 발생하면 당이 국민 눈높이에서 조율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과 괴리되지 않는 정책을 만드는데 주력할 뿐, 포퓰리즘으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민간자문단은 민생정책 수립에 주력하되 내년 총선까지 활동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민생정책혁신위가 민생정책 뿐 아니라 내년 총선 승부를 좌우할 공약 발굴에도 나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날 오후 민생정책혁신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