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DMZ 생태평화공원, 생태·평화·기억의 공간으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통일연구원, 기본 구상 발표…24일 관련 심포지엄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박근혜 정부가 그동안 공을 들여왔던 비무장지대(DMZ)내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의 밑그림이 나왔다.


통일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통일연구원은 24일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기본 구상을 발표하고 생태평화공원을 생태(Eco)·평화(Peace)·기억(Memorial) 등을 기본 개념으로 삼아 새로운 유형의 복합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따르면 공원은 남북한 주민과 국제관광객에게 개방하고 공원 내 연구시설 등을 마련해 공원 기능과 함께 남북한 협력공간으로도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오랜기간 폐쇄됐던 DMZ가 생태적 상징성이 큰 만큼 고유의 생태적 가치를 구현해 남북한 생태 협력과 동북아 생태협력의 거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향후 DMZ 내부에 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는 것을 시작으로 인접지역으로 평화생태관광 벨트를 확장해 남북한 긴장 완화와 배후지역의 개발을 모색할 예정이다.

"DMZ 생태평화공원, 생태·평화·기억의 공간으로"
AD


통일연구원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관련 심포지엄을 열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심포지엄에서는 DMZ 생태평화공원의 기본 구상과 배후지역 연계 발전 방안 및 한반도 생태·평화 협력방안이 논의된다. 아울러 생태평화공원의 가치를 주제로 소설가 김홍신씨와 역사학자 이이화씨, 연극인 박정자씨와 이용수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장 등 문화·예술인들과 전문가들이 토론에 나선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DMZ 생태평화공원은 중무장화된 지역의 긴장 완화와 평화적 이용을 추구한다는 점이 특징"이라며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등 DMZ를 통과했던 기존의 남북협력모델과도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그간 정부는 DMZ내 생태평화공원을 추진을 국정과제로 삼고 다각도로 준비해왔다.


통일부는 지난해 12월 공원 조성을 위해 강원 고성군과 철원군, 경기 파주시 등 후보지 3곳의 현지실사를 마쳤다. 이중 철원군은 국토 중심축에 위치한데다 비무장지대 248km 중 약 30%(70.2km)를 차지하고 있어 유력 후보지로 떠오르고 있다.


DMZ 생태평화공원 조성은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은 2013년 5월 미국 의회 연설에서 공원 조성을 제안했고 지난해 9월 유엔(UN) 총회 연설에도 공원 조성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국제사회에 협력을 요청한 바 있다.


그러나 남북관계가 고착 상태에 빠지면서 착수조차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은 박 대통령의 유엔 연설에 대해 비난하면서 10·4 남북공동선언에서 합의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의 이행을 촉구하는 등 우리측이 제안한 DMZ 세계평화공원에 대해서는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