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설날 세시풍속, 알고보니 '풍성'한 우리네 놀이 많아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날 세시풍속, 알고보니 '풍성'한 우리네 놀이 많아 윷놀이
AD


설날 세시풍속, 알고보니 '풍성'한 우리네 놀이 많아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세시풍속은 대체로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명절, 24절후 등이 포함돼 있고 이에 따른 의례와 놀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농경을 주 생업으로 하던 전통사회에서는 놀이도 오락성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풍농을 예축하거나 기원하는 의례였다.


정월 초하룻날은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로 '설날'이라 해 연시제(年始祭)를 지내며, 웃어른께 세배를 드린다. 세배하러 온 손님에게는 술·고기·떡국을 대접한다. 초하루~초사흗날까지 관공서는 공사(公事)를 보지 않고, 각 상점도 문을 닫는다.

일가 친척 및 친지를 만나면 '덕담(德談)'이라 하여 서로 새해를 축하하는 인사를 하며, 설날의 놀이로서 남녀가 모이면 다 같이 '윷놀이'를 하고, 젊은 부녀자들은 '널뛰기'를, 남자들은 '연날리기'를 한다.


각 가정에서는 설날 이른 아침에 '조리'를 사서 벽에 걸어 두는데 이를 '복조리'라 하며, 그해의 신수를 보기 위하여 '토정비결'을 보기도 한다.


농가에서는 '나무시집보내기'라 하여 과일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우는데 이렇게 하면 과일이 많이 열린다고 한다.


상자일은 '쥐불'이라 하여 농촌의 밭이나 논두렁에 짚을 흩어 놓고 불을 놓아 잡초를 태워서 들판의 쥐와 논밭의 잡충을 제거하고, 입춘(立春)날에는 '입춘 써붙이기'라 하여 대문·난간·기둥에 봄을 축하하는 글귀를 써붙인다.


자정(子正)이 지나 15일이 되면 각 마을에서는 마을 제단에서 동신제(洞神祭)를 지내고, 보름날 새벽에는 귀밝이술[耳明酒]이라 하여 술 한 잔씩을 마시며, '부럼[腫果] 깬다' 하여 날밤·호두·은행·잣 등 굳은 껍질의 과일을 깨물고 '약밥'을 해먹는다.


동네 안의 악기(惡氣)를 진압하여 연중 무사하기를 비는 뜻으로 '사자놀음' '지신밟기' '들놀음' '매귀놀음' 등을 하며, 풍년을 기원하는 놀이로서 '줄다리기' '횃불싸움' 등을 하며, 어촌에서는 그 해의 풍어(豊漁)를 비는 뜻에서 '풍어놀이'를 한다.


또 보름날 밤에는 동산에 올라가 달 떠오르는 것을 맞이하여 달빛을 보고 그 해의 풍흉(豊凶)을 점치며, 다리가 튼튼해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다리밟기'를 한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