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처업무보고]상반기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6000억원 펀드 조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부처업무보고]상반기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6000억원 펀드 조성
AD


[아시아경제 권용민 기자] 정부가 올해 신성장 산업에 100조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하고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센터)에 '파이낸스 존'을 설치, 창업·중소기업에 기술금융을 지원한다. 센터와 연계한 창조경제혁신센터펀드 6000억원을 조성해 금융생태계도 활성화 한다는 방침이다.

15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청와대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역동적 혁신경제' 실현을 위한 올해 주요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정부는 창조인프라 확대를 위해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출범을 상반기에 마무리하고 범정부·지자체·대기업이 협력해 지역특성에 맞는 핵심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성공모델을 바탕으로 규제개선 등 관련 법·제도 개선을 병행해 다른 지역과 기업으로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혁신센터에서는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이디어 수준과 숙성 단계에 추진·탈락 시스템을 구축하고 '파이낸스 존'을 통해 기술금융까지 지원한다.


파이낸스 존은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산업은행·기업은행·정책금융공사 등 핀테크 관련된 지원기관이 상주를 하면서 맞춤형 금융상품을 안내·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전북센터의 경우에는 기술력이 양호한 창업초기 기업에 대해 3억원 한도에서 무담보, 무보증으로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의 '기술신용대출펀드'를 특별지원하기로 한 바 있다.


이같은 아이디어 사업화 트랙을 통과한 사업에 대해서는 공영TV 홈쇼핑이나 우체국 쇼핑 등을 통해 마케팅을 지원하고, 전담 대기업 연계 프로그램 등을 통해 주요 해외 투자자 연계 유치 등 글로벌 진출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또 아이디어가 빠른 시간 내에 사업화될 수 있도록 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의 자원과도 연계한다. 온라인 창조경제타운이 멘토 풀과 아이디어 등록·관리 시스템을 공유하고 군 보유 장비 활용,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대학생 발명·창업 동아리 참여 확대 등 아이디어의 사업화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센터를 중심으로 창업보육센터, 중소기업통합지원센터, 수술지원센터 등 기존 지역의 기관과 연계도 추진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장 협의회' 등 전국단위 네트워킹을 구축해 교육·시제품 제작, 공모전 공동 개최 등 센터간 역학을 분담한다. 작년 4개 지역 총 1600억원 규모의 창조경제혁신센터펀드를 17개 지역 총 600억원 규모로 확대하고, 사업화 소재 다양화를 위해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연계 추진한다.


한편 정부는 광역도의 경우, 지역 내 다양한 수요를 고려해 지자체 주도의 지역분소형 혁신센터도 구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역의 수요ㆍ강점에 맞게 핵심사업을 발굴해 창업지원과 기존 지역기업의 창조산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수소자동차, 제로 에너지 마을, 사물인터넷 등 지역별로 창조경제 시범사업을 본격화해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역혁신의 허브로 키울 것"이라며 "특히 센터 내 파이낸스 존을 통해 창업기업이 기술금융, 클라우드 펀딩 등의 지원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핀테크 지원센터도 창조경제혁신센터와연계해 법률적인 문제나 자금지원의 문제, 인허가의 문제를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용민 기자 festy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