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野, 감사원 자원외교 감사 '꼬리자르기' 의혹 제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감사원의 석유공사 등 자원외교 관련 공기업의 '공공기관 경영관리실태'를 감사결과 발표를 두고서 논란이 일고 있다. 자원외교 관련 국정조사가 예정된 상황에서 야당을 중심으로 감사 내용, 발표 시점 등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어졌다. 야당에서는 감사원의 감사 내용과 관련해 '꼬리자르기' 의혹 등을 제기하고 있다.


감사원은 2일 석유공사의 캐나다 하베스트 유전개발 계열사 매수와 관련해 강영원 당시 사장을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고 민사상의 책임을 묻겠다는 내용의 감사결과를 발표했다. 하베스트와 그 정유부문 자회사인 날(NARL)은 지난해 국정감사 등을 통해 논란이 불거져 올해 국정조사를 앞두고 있는 사안이다.

야당에서는 감사원의 발표가 국정조사를 앞두고 꼬리자리기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완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은 4일 국회 브리핑을 통해 "감사원 결과를 들여다보면, 전형적인 꼬리자르기 수법이 아니냐는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결국 전직 사장에게 책임을 모두 뒤집어씌우는 결론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감사원은 최경환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에 대해서도 '지경부 장관이 사업 내용을 자세히 알거나 승인할 위치가 아니었기 때문에 따로 조사하지는 않았다'고 했는데, 담당 장관이 모르면 누가 안다는 말"이라며 "자그마치 1조4000억원에 가까운 자회사(날), 그것도 석유공사의 업무범위에 규정조차 없었던 회사를 인수하는데 일개 공기업 사장이 자의로 결정할 수 있었다는 것인가"라며 비판했다.

당시 석유공사 사장은 하베스트 인수 전에 최 당시 장관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감사원은 "구체적 지시 없이 잘해보라는 수준으로는 조사할 수는 없었다"며 최 부총리를 상대로 조사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원내대변인은 "(당시 석유공사 사장이었던)강영원 전 사장은 해외자원개발 관련 우리나라 최고 회사였던 대우인터내셔널 사장이었고, 연봉 3분의1도 채 안 되는 석유공사에 부임한 이유가 이명박 대통령의 간곡한 청이 있었다는 언론보도를 보면, 과연 이 모든 결과가 강영원 사장 단 한 사람만의 책임인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며 "해외자원개발의 부실투자, 이로 인한 단군이래 최대의 국부유출 사건에 근원적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감사원을 비롯한 박근혜 정부 모두가 곱씹어 생각해볼 문제"라고 밝혔다.


시점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박 원내대변인은 "감사원은 이미 2012년에 캐나다 하베스트와 그 자회사인 날(NARL)의 인수를 놓고 감사했던 전례가 있고, 그 당시에는 담당과장 징계로 마무리했다"며 " 해외자원개발 부실에 대한 감사가 필요하다는 국회의 지적이 이어지고 국정조사 요구서까지 통과되자 감사원이 마음이 급했나 보다"고 꼬집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