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닻 올린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남은 과제는?

시계아이콘01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시장조성자 제도 기업 수요 유인 가능…전문가 "자본거래까지 확대해야 커질 수 있어"

위안화 결제 땐 혜택…금융상품 유인책 내와야
초기 수급불균형 해소·중국서 맞교환 가능하도록 원화 국제화도 숙제

닻 올린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남은 과제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왼쪽)와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열린 원·위안화 은행간 직거래시장 개장 기념식을 마친 후 원·위안화 시장을 살펴보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조은임 기자] 1일 첫 걸음마를 시작한 원ㆍ위안화 직거래 시장에 대해 시장조성자 은행들은 대부분 만족하는 모습이었다. 은행간 거래량이 예상을 상회했고 장중 호가 형성도 끊이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향후 '위안화 허브'라는 최종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수급불균형이 해소되고, 자본거래와 원화국제화 등이 전제돼야 한다고 내다봤다.

◆은행들 위안화 상품 확대 주력=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원ㆍ위안화 직거래량은 약 54억위안으로 기대치(8∼9억위안)의 6배를 웃돌았다. A은행 자금운용부 관계자는 "오랜만에 보는 직거래 시장이라 다들 관심을 가지고 향후 기대치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B은행 위안화 데스크는 "원위안화 거래 시장을 자생적으로 형성하기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것"이라며 "당분간은 시장조성자 제도를 통해 규모를 형성하고 향후 기업의 수요를 유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첫날 거래규모를 대중국무역 규모와 비교해 보면 아직은 상당히 부족한 수준이다. 거래량인 54억위안을 미 달러로 환산하면 약 9억달러로, 통상 원달러 시장 거래 규모가 100억달러임을 생각하면 10% 채 못미친다. C은행 외환 딜러는 "이전에 위안화 거래 규모가 미 달러 대비 1% 수준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유의미한 수치"라면서도 "앞으로 무역결제 확대를 통해 규모를 키우기 위해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에서는 시장조성자 은행들을 중심으로 수출기업의 무역결제와 중국자본시장 투자를 위해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환리스크 상품을 선물환, 스왑, 외환(FX)옵션까지 확대하고 예대 상품에서도 위안화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또 금융지주사들은 은행과 증권, 자산운용사의 협업으로 외국인투자적격제도(RQF II)를 통해 중국 자본시장에 직접 투자할 방법도 모색 중이다.


◆'달러→위안화' 유인책 효과 발휘해야 = 시장 전문가들은 이미 굳어져버린 달러화 결제 관행을 위안화로 바꿀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 3분기 대(對)중국 수출 결제대금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6억160만달러(1.7%)다. 달러화 결제 규모 350억3900만달러(95.6%)와 격차가 크다. 중국 수입 결제 통화 역시 달러화가 208억1790만달러로 전체 결제통화의 95.4%를 차지했다. 위안화 결제는 2억2440만달러로 1%에 불과하다.


이정진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이전엔 무역결제 기업들이 위안화를 받아도 이 자금을 굴릴데가 없어서 달러로 받는 경우가 많았는데, 예금이나 펀드, 상품이 적절히 쏟아져 나와 이익을 취할 수 있게끔 금융이 탄탄히 받쳐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초기 수급불균형을 해소하는 것도 난관이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론 수출하고 받는 위안화가 수출대금으로 내는 위안화보다 더 많아 수요보다 공급이 더 많을 수 있다"면서 "중국 자본시장 개방과 함께 위안화 수요를 확대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수출입을 기본으로 하는 경상거래 외에도 자본거래까지 일으켜야 시장이 안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이지평 LG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원ㆍ엔시장 실패에서 보듯 경상거래만으론 부족할 수 있다"면서 "우리입장에선 위안화로 중국 자산시장에 투자를 할 수 있고, 중국입장에선 원화로 한국 부동산투자나 기업 기술확보에 나설 수 있는 방식의 자산거래까지 같이 가야 이상적이다"고 조언했다.


원화와 위안화가 중국에서도 맞교환이 돼야 진정한 위안화허브를 구축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현재 원화는 외국환거래법에 의해 국내에서만 직거래가 가능하다. 현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용도가 제한된 통화와 그렇지 않은 통화 간의 비대칭적인 직거래는 활성화되기 쉽지 않다"고 주장했다. 현 연구위원은 소규모 개방경제인 호주와 뉴질랜드도 환투기 리스크를 감수하고, 중국에 직거래 시장을 개설한 것을 예로 들었다. 안유화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도 "원화 국제화가 어렵다면, 중국당국에게 중국기업이 한국 원-위안 직거래시 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원화특구'를 만들거나, 시범적인 개혁개방조치를 유도하는 물밑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