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실수요자들 계속 몰려들어…올 분양물량 11년 만에 최대치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 정확하게 미래를 내다보지 못하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실수요자들은 물론 투자자들까지 분양시장에 몰려든 것이 올해 주택시장의 특징이다. 덕분에 올 분양시장은 1년 내내 활황세를 보였다.
11월26일 기준 전국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분양물량은 총 451곳 25만4793가구로 이는 11년 만에 최대치다. 올해 분양대전의 막을 화려하게 장식할 12월에는 전국 1만9493가구의 분양이 예정돼 있다. 지난 3년간 평균 12월 물량 1만7485가구를 웃도는 수치다.
봇물처럼 물량이 쏟아진 것은 수도권 신도시ㆍ택지지구와 지방 주요 도심을 중심으로 청약 열풍이 거셌기 때문이다. 수요자들이 반응하자 공급자들이 묵혀온 땅을 십분 활용하려 나선 것으로 풀이해볼 수 있다. 특히 세종ㆍ대구ㆍ부산ㆍ광주 등 지방 분양시장의 열기가 뜨거웠으며 수도권에서는 위례신도시ㆍ미사강변도시ㆍ동탄2신도시 등 신도시와 택지지구에 수요가 몰렸다. 지난달에는 위례신도시 '위례자이'의 청약경쟁률이 평균 139대 1을 기록해 판교신도시 이후 6년 만에 최고 경쟁률을 경신했다.
그렇다면 이런 청약열기는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가. '겨울 비수기'마저 무색케 하고 있는 분양열기는 쉽게 사그라지지 않고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시장이 한창 탄력을 받고 있는 만큼 건설업계가 인기 지역의 공급시점을 앞당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수도권에서만 올해보다 1만~2만여가구가 더 늘어난 물량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울은 강남4구를 중심으로 재개발ㆍ재건축 이주물량이 무려 6만여가구에 달해 분양시장이 크게 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정부가 발표한 '9ㆍ1대책'에 따른 청약제도 개편과 전매제한 완화(추가)도 내년 청약시장 열풍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의 경우 청약제도 개편에 따라 내년부터 1순위 자격을 갖춘 수요자가 대폭 늘어나게 된다. 또 지난 6월 수도권 민간택지에서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아파트의 전매제한이 1년에서 6개월(공공택지는 1년)로 단축된 데 이어 정부가 '9·1대책' 일부 내용을 수정하면서 그린벨트 해제 지역 공공주택도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높을 경우 전매제한 기간이 4년에서 3년으로 줄어든다. 여기에 정부가 앞으로 3년간 대규모 공공택지 지정을 하지 않을 예정이어서 공공택지 분양에 수요자들이 쏠릴 전망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청약제도 개편으로 내년 상반기 이후 1순위자가 증가하고 분양권 전매규제 완화로 환금성이 높은 인기 사업지는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희 한라 건축개발사업본부 전무는 "일부 전세 수요가 분양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존재하는 데다 올 하반기와 마찬가지로 국지적으로 청약시장에 대한 열기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업계 전문가들은 모두 분양시장 양극화 현상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심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 인기 지역의 청약 경쟁률과 새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높아지겠지만 입지나 규모에 따라 지방에서는 공급과잉 등에 따른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도 점쳐졌다. 소비자들의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해당 입지와 분양가 문제를 비롯, 부동산 관련 3대 법안 등 정부의 부동산대책 후속조치들의 신속한 이행 등 정책변수가 어떻게 될지 등도 남아있다.
전문가들은 분양시장을 바라보는 공급자와 수요자 간 인식 차이가 시장 예측을 힘들게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남무경 GS건설 건축기획담당 상무는 "공급업체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가격상승 및 시세차익 기대감이 존재하는 물량에 한해 공급을 확대할 것이나 수요자 측면에서는 실수요 위주로 접근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민석 FR인베스트먼트 연구원은 "업계의 만만치 않은 가격 띄우기와 과잉공급 사이에서 혼선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대내외 경제여건 역시 큰 변수다. 사상 최저치를 기록 중인 금리가 다시 상승할 경우 신규 분양시장은 자금조달이나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다소 침체되거나 청약률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조필규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엔저와 미국의 금리정책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고 아베노믹스가 부진의 터널을 벗어나지 못할 경우 국내 부동산시장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