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한중, 한·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 타결로 식품과 외식산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지만 해당분야의 인력부족 현상이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외부연구용역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식품산업 인력수급 전망 및 교육수요 연구'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식품제조업 6800명(연평균 1370명), 외식업 15만6000명(연평균 3만1200명) 등 총 16만2800명(연평균 3만2570명)의 취업자가 증가할 것으로 추계됐다. 반면에 정규교육기관(특성화고·전문대학· 대학·대학원)에서는 2013~2018년까지 10만9800명(연간 2만1000명) 규모의 졸업자가 배출돼 수급비율은 67%이었다.
신규충원 계획인력 중 전공자 충원 비중(24.5%)을 반영해 산출된 식품분야 전공 필요인력 수는 5년간 3만9900명. 공급은 3만6500명으로 3393명이 부족하게 된다. 현재 관련 전공자의 식품산업 진입률이 유지된다면 산업 필요인력의 91.5%만이 충족된다.
올해의 경우 전공자 필요인력은 7443명인데 인력공급은 7367명으로 77명(전공수급충족률 99.0%)이 부족하지만 내년에는 547명(92.9%), 2016년 979명(88.1%), 2017년 827명(89.9%), 2018년 963명(88.6%) 등 매년 인력부족이 심화된다. 식품과 외식업체의 26.8%가 필요인력을 충원하지 못하고 있으며 5인 미만 사업체를 포함한 식품산업 인력부족률은 5.8%로 전 산업 평균(2.9%)의 2배 수준이었다.
신규 인력 충원 시에는 생산·제조 관련직(55.1%), 접객서비스직(44.8%) 충원에 많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식품제조업 주요 애로사항은 열악한 근로조건(26.3%), 취업하려는 인력부족(26%) 순이었고 외식업은 취업하려는 인력부족(39.4%), 경력직의 자질 및 역량 부족(21.3%) 순이었다.
인력난 속 취업난이 벌어지는 이유는 식품산업의 구조상 신규인력 수요가 단순 기능인력, 영세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식품산업 종사자 수는 2011년 기준 190만명으로 매년 2%대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종사자 비중이 63.7%로 산업평균(41.4%)보다 높다. 주연령층은 50~59세로 평균연령(40.8세)과 50세 이상 비중(38.5%) 모두 전 산업 평균을 상회한다.
반면 대졸자 이상의 비율이 식품제조업 25.5%, 외식업 17.8%로 전 산업 42.4%에 비해 매우 낮은 저학력 인력 구조다. 이에 따라 저임금 노동구조와 영세성, 근로환경 저하 등에 기인한 취업기피로 중소기업 산업체의 기술기능직, 단순노무직에 대한 고용난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양적인 인력수급에 큰 애로가 없는 대기업의 경우 제품개발 및 생산직 인력은 충분하나 외식경영, 연구개발 전문 인력 등 고급 인력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FTA 등 무역시장 개방과 소비자 수요 고도화에 대응해 연구개발 인력양성 사업을 확대 강화하고 FTA 대응과 글로벌식품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수출확대 전문인력의 양성에 나서야 한다"면서 "대기업과 일반기업의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양질의 교육훈련을 식품산업 전반으로 확대할 수 있는 인력 사업의 기획, 식품인력 교육기획의 일원화를 통한 체계적인 교육 커리큘럼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세종=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