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 임혜선 기자, 임선태 기자]국내 산업계는 한국ㆍ중국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을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다. 세계 최대시장에 보다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각론에 있어서는 현(現) 중국 진출 현황 등 산업별 특성에 따라 이해도가 조금씩 엇갈렸다.
중국을 '제 2의 내수시장'으로 규정하고 있는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FTA 체결 후 관세 철폐 혜택이 다른 산업 대비 클 것으로 기대했다. 중국은 한국 석유화학 제품의 제 1위 수출 시장이다. 한국 석유화학 제품의 45%, 석유 제품의 18%가 중국에 수출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수입하는 합성수지 제품의 관세율이 5.5~6.5%인 점을 감안하면 한한중 FTA, 재계 "일단 환영"중 FTA 타결로 국내 합성수지 제품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관측했다. 아울러 2% 수준의 관세가 붙었던 기초유분, 중간원료 제품도 FTA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SK경영경제연구소는 "가격으로 주요 경쟁력이 결정되는 석유화학 제품은 관세 1~2%가 전체 수출량을 결정짓기 때문에 관세철폐 영향이 절대적"이라며 "실제 한·칠레 FTA로 관세율이 6%에서 0%로 떨어진 후 한국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은 10배 증가했고, 한ㆍEU FTA도 체결 후 3년간 석유화학 제품 수출이 매년 20%이상 늘어났다"고 했다.
중국 자급률 상승, 제3국과의 경쟁 격화 등은 위기 요인으로 꼽혔다. 중국 내 생산량이 많거나 자급률이 높은 일부 품목의 경우 FTA 체결로 오히려 중국산이 우리나라에 더 싼 가격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의미다.
국내 최대 산업으로 분류되는 전자업계는 FTA 수혜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반도체, 휴대폰, 컴퓨터 등 일부 품목의 경우 이미 세계무역기구(WTO)의 국가 상호간 정보기술협정(ITA)에 따라 무관세화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가전제품 역시 현지에 생산 체계를 구축, FTA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가전제품과 휴대폰 분야의 경우 중국의 기술력이 크게 개선, FTA 체결로 향후 가격 경쟁력까지 더해질 경우 국내 시장 점유율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감도 제기됐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기술력 우위의 한국 업체가 유리한 상황이지만 중국이 지금의 속도로 기술력을 끌어올린다면 안심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자동차 업계는 부품업체들의 관세 혜택 수혜가 완성차 업체들의 현지 가격경쟁력 향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데 기대를 걸고 있다. 이미 현지생산 방식으로 중국시장을 공략 중인 현대기아자동차가 추가 생산기지까지 모색하는 상황에서 FTA 타결로 인한 직접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지만, 부품 업체들은 FTA의 직접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사업 비중이 높은 화장품 업체들도 한·중 FTA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인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세혜택을 받으면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중국 현지사업이 활기를 띌 것으로 보고 있어서다.
중국서 한국산 화장품에 적용되는 관세는 눈ㆍ입술 화장용 10%, 기초ㆍ메이크업 6.5%의 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중국 화장품 시장은 218억 달러 수준으로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시장"이라며 "관세가 폐지되면 신규 사업 수요도 창출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ㆍ중 FTA 타결과 관련 대형 식음료업계는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수출을 많이 하는 중소업체의 경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농심은 1998년을 시작으로 이미 중국 동북 3성에 진출해 현지 공장을 가동하고 있기 때문에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리온과 CJ제일제당 등도 효과를 보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식업계 역시 한중 FTA가 체결된다고 해도 대부분 원재료를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는 만큼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SPC 관계자는 "이미 파리바게트는 본사와 공장이 현지에 모두 나가있고 대부분 국가에서 현지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는 상태"라며 "원가 절감효과가 크진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CJ푸드빌 관계자도 "한국에서 가져가는 재료도 있지만 현지에서 신선한 식자재를 갖다 쓰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특별히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없다"며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