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가 국내 소비재시장과 유통산업에 무시할 수 없는 변수로 떠올랐다. 소비자가 해외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한 전자상거래로 물품을 직접 구매하는 해외직구가 부쩍 성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용자도 젊은 층에서 중장년 층으로 확산되고, 구입품목도 의류ㆍ신발ㆍ가방ㆍ서적 중심에서 화장품ㆍ음식료품ㆍ가전제품ㆍ통신기기ㆍ자동차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해외직구는 728만건, 7538억원에 이르렀다.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건수로 46%, 금액으로 49%나 증가했다.
이런 추세면 지난해 1조원을 돌파해 1조1356억원에 달한 해외직구 규모가 올해는 지난해의 1.5배인 1조7000억원을 넘어 2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연말 세일 시즌이 다음 달 28일 블랙 프라이데이부터 시작되면 국내 소비자들의 해외직구가 평소보다 크게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어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발표한 '내국인 해외쇼핑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해외직구 경험자의 1인당 연평균 구매액은 87만4000원으로 적지 않은 규모다.
해외직구는 인터넷의 발달로 가능해진 온라인 해외쇼핑을 통해 소비자들이 구매선택권을 보다 다양하게 누리는 방법이다. 그 자체가 소비자 후생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해외직구에 나서는 동기를 보면 반길 일만은 아니다. 국내에서도 같은 제품을 살 수 있지만 배송비까지 포함해도 온라인으로 해외에서 직접 구매하는 게 더 저렴하다 보니 눈을 밖으로 돌린다. 같은 제품 중에서 품질이 더 나은 것을 찾아 해외직구에 나서는 경우도 많다.
이는 특히 국내 소비재 기업들과 유통업계가 긴장해야 할 점이다. 휴대폰의 경우처럼 공급업체가 해외보다 국내 판매가격을 높게 매겨 국내 소비자를 '호갱' 취급하기를 계속하면 해외직구로 돌아서는 고객이 점점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병행수입의 효과가 크지 않은 품목의 독점수입업체가 과도한 고가격ㆍ고마진 판매를 일삼는 경우도 그렇다.
해외직구는 올해 상반기 중 국내 민간소비에서 0.2%의 비중을 차지했다. 초기여서 아직은 그리 높지 않다. 그러나 이 비중은 앞으로 빠르게 높아져 그러잖아도 부진한 내수를 더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대책은 '더 낮은 가격에, 더 나은 품질' 외에 다른 것이 있을 리 없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