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을 읽다]뇌(腦)과학…암울한 우리나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전문연구원 부족…민관 협력체계도 빈약

[과학을 읽다]뇌(腦)과학…암울한 우리나라 ▲뇌과학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AD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1990년 미국은 'Decade of the Brain(뇌연구의 10년)'이란 법안을 공포했다. 뇌연구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내용이 중심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에서 지금은 자선사업가로 활동 중인 폴 알렌은 2003년 3억달러의 기부금을 출연해 설립한 알렌뇌과학연구소를 설립했다. 비영리연구소다.

미국은 정부가 적극 나서고 있고 민간 영역에서도 뇌연구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가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두 귀 사이에 있는 1.4㎏'의 신비를 푸는 연구개발에 아낌없이 투자하겠다"고 공언했다. 알렌뇌과학연구소에서는 70여 개국 약 200명의 연구원이 뇌의 비밀을 풀기 위한 연구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전 세계는 지금 뇌연구를 통한 새로운 산업 창출과 시장 육성 경쟁에 나서고 있다. 미국의 경우 오바마 대통령의 지시로 '뇌지도 작성 프로젝트'를 실행 중이다. 기존에 투자된 6조원 규모 예산에 더해 앞으로 10년 동안 3조원을 더 쏟아붓는다. 유럽도 적극 나서고 있다. 뇌과학을 미래주력사업으로 선정해 기존 연구비 7조원에 더해 10년 동안 1조3000억을 투자할 예정이다.

반면 우리나라 뇌과학 실정은 암울하다. 미국의 뇌 연구 투자액 대비 2%에 불과하다. 물론 지난 4년 동안 관련 예산이 1.7배 증가했다. 투자뿐만 아니라 뇌를 둘러싼 기초연구는 물론 민관 협력체계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014년 국정감사에서 뇌연구에 대한 '암울한' 우리나라 현실이 지적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류지영 의원(새누리당)은 "국내 유일의 뇌연구 출연연인 한국뇌연구원이 설립된 지 3년이 지났는데도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며 "(뇌연구 관련)정부의 투자는 미국의 160분의1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1998년 '뇌연구촉진법' 제정에 따라 2012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설로 '한국뇌연구원'을 만들었다. 뇌융합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른바 우리나라 뇌연구의 중심체 역할을 맡긴 셈이다.


모양새는 갖춰졌는데 문제는 인력과 예산에 있다. 한국뇌연구원이 활성화되고 기초과학은 물론 제대로 된 연구를 위해서는 최소 166명의 정규직 인력이 필요하다고 류 의원은 분석했다. 현재 한국뇌연구원 정규직 연구 인력은 고작 22명. 내년에도 충원 인력은 8명에 그쳤다. 이런 연구원 환경으로는 안정적 연구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 능력이 미치지 못하다 보니 심지어 국책 연구과제도 수행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가 인터넷·게임 중독의 뇌과학적 원인규명 등을 위한 국책 연구과제 수행을 추진했는데 뇌연구원은 아직 그 정도 연구과제조차 수행하기 벅차 결국 국책 연구과제는 모 사립대학병원에 넘겨졌다.


류지영 의원은 "한국뇌연구원이 입주할 신축건물은 지하 1층, 지상 5층의 연면적 3만1815㎡ 규모"라며 "신축건물은 대구시가 1258억원을 들여 건립했는데 정부는 166명의 정규직 연구원이 일해야 할 곳에 현재 22명을 근무하게 만들어놓고 방관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미국의 160분의1 수준으로 투자해 놓고 국가경쟁력을 갖춘 '세계 7대 융복합 뇌연구기관'으로 거듭날 기관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은 전형적 전시 행정의 산물이라는 지적이다.


뇌 연구는 21세기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분야라는데 전문가들의 이견은 없다. 좋은 건물이 있다고 해서 연구 성과가 저절로 나오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 안에서 기초연구는 물론 이를 통한 민관 협력체계가 만들어졌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온다.


고령화 사회에서 뇌 연구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제이다. 이런 전 세계 흐름에서 여전히 우리나라는 뒤처져 있다. 언제쯤 이런 '암울한 에피소드'가 사라질지 안타까움을 던져준다. 기초과학에 투자하는 것, 그것이 가장 빠른 길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정부 관료가 왜 이렇게 적은 지 그 이유가 궁금하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