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르면 現 중3부터 영어 절대평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교육부가 수능 영어 과목을 현행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꾸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일정 점수만 넘으면 1등급을 부여하거나 현행 9등급인 등급 간격을 3~6등급으로 축소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과도한 사교육을 막겠다는 취지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 대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도입 시기에 대해서는 "2017년이나 2018년쯤"이라고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대입제도 변화 3년 전 예고 원칙에 따라 현재 중3 학생들이 시험을 치르는 2018학년도부터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황 장관은 "변별력 위주의 영어 시험을 유지하면 4%(1등급)에 들어가려고 과도한 투자를 하게 된다"면서 "미국이나 독일 등은 절대평가를 하고 있고 공부할 능력이 정 안 되는 경우만 탈락시킨다"고 지적했다.


황 장관은 또 대학구조개혁과 관련, 이명박 전 정부의 '부실대학 퇴출'이나 서남수 전 장관의 '정원 감축'에서 '대학 경쟁력 강화'로 방향을 전환할 것을 시사했다.

그는 "구조조정이란 것의 올바른 방향은 정원 축소보다는 대학을 강화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다"며 "재정지원제한 대학이나 구조조정에 대해 교육부가 노력할 부분은 따로 있다. 대학 재정을 두텁게 지원하고, 대학 인적재원 확보에 노력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학 경쟁력 제고 방안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외국대학 개방 등이 언급됐다. 황 장관은 "서비스산업이라는 시각에서 대학교육 정책을 정원 조정과 맞물려 조화되는 범위에서 외국대학을 개방하고, 또 외국인 유학생 유치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언젠간 닥칠 대규모 정원미달 문제를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큰 일난다는 지적을 도외시할 수 없어 구조조정을 하되 이처럼 여건 전환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라며 "일단 재정지원제한대학, 정원감축은 올해 매듭짓겠다"고 밝혔다.


부실대학 퇴출 문제와 관련해 황 장관은 "공적 기관에서 위원회를 구성해 평가방법을 완성하면 결단을 내릴 것"이라면서도 "대학 하나를 퇴출한다는 것은 그 대학뿐 아니라 해당 지역에도 타격을 준다. 많은 문제가 생긴다. 최근 사내대학, 폴리텍 대학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수요가 있다. 이런 부분과도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