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NTSB, “아시아나 조종사, 자동장치에 너무 의존” (2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속보[아시아경제 뉴욕=김근철 특파원]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는 지난해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214편 여객기 착륙사고 당시 조종사가 자동조종장치에 과도하게 의존했다고 24일(현지시간) 지적했다.


크리스토퍼 하트 NTSB 임시 의장은 워싱턴DC 본부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이번 조사의 목표는 향후 유사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전제한 뒤 “지난해 아시아나 사고의 경우 조종사가 자동조종장치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과도하게 의존(over-relied)했다”고 주장했다.

NTSB는 "조종사는 언제나 항공기를 완전하게 통제해야 한다"면서 "아시아나 항공의 훈련 매뉴얼은 자동화장치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NTSB는 유사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해 "승무원이 (항공기의) 자동화 장치를 작동하는 환경을 개선하도록 권고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6일 아시아나항공 214편 여객기는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승객 3명이 사망하고 180여명이 다쳤다. 그동안 사고 원인으로는 조종사 과실, 항공기 결함, 샌프란시스코 공항 문제 등이 거론돼왔다.


아시아나 항공은 지난 3월 최종 진술서를 통해 ▲특정 조건 하에서 사고 여객기와 같은 보잉 B777 항공기의 자동화 시스템내 자동 조정 기능이 제한되는 모순 ▲급격한 속도 저하에도 늦게 울린 항공기 경고음에 따라 지연된 회항 ▲샌프란시스코공항의 과도한 관제 요구 등을 사고 배경으로 꼽았다.


반면 보잉사는 자동 조정 기능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으며 조종사의 적절치 못한 대응으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주장해왔다.


NTSB는 이날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공청회에서 토론과 투표절차를 마무리한 뒤 7월 중 최종 조사 결과를 확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 발표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이 사고피해 승객이나 가족들에게 지급해야할 보상 규모나 향후 미 항공당국의 제재 수위등도 달라질 전망이다.




뉴욕=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