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콜롬비아는 마약과 게릴라, 국민 갈등으로 세계인으로부터 '위험국가'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유네스코(UNESCO)가 2007년 콜롬비아 보고타를 '세계 책과 문화의 도시'로 선정하면서 문화국가로 부상,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보고타가 책과 문화의 도시로 선정된 데는 '루이스 앙헬 아란고 도서관'의 부단한 노력이 높게 평가된 때문이다. 루이스 앙헬 아란고 도서관은 1958년 개관, 콜롬비아 국민의 문화적 자부심을 상징한다. 루이스 앙헬 아란고 도서관은 그저 단순한 도서관에 그치지 않는다. 개관 이후 보테르 미술관, 화폐박물관, 국립은행 문화예술관 등을 산하기구로 두고 복합문화특구를 이루며 교육, 문화 향유, 관광의 전당 역할을 한다.
루이스 앙헬 아란고 도서관은 오래전부터 '비블레드'라는 프로그램을 실시, 보고타 시내의 대형 중심도서관 3곳, 소형도서관 30곳, 기타 마을도서관 등을 연계해 '책 돌려 읽기' '찾아가는 책 서비스' '움직이는 도서관' '가족 독서캠페인' '도시 문화 소모임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각종 문화예술 전시회가 수시로 열려 중남미 문화예술 허브를 이룬다. 루이스 앙헬 아란고 도서관은 '정보의 평등 구축' '문화산업의 가치' '지역 격차 해소' 및 '창조적 소통'을 표방한다.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벤치마킹할 정도 유명하며, 콜롬비아를 찾는 해외 관광객이라면 꼭 들려봐야 할 문화관광상품으로 손꼽힌다. 연간 방문객은 1998년 300만명 수준에서 2008년 670만명으로 2배 이상 늘어날 정도로 루이스 앙헬 아란고 도서관에 대한 콜롬비아 국민의 사랑이 지극하다. 도서관 이름은 국립은행의 수장으로 도서관 건립을 주도해 콜롬비아의 문화 자부심을 불러 일으킨 '루이스 앙헬 아란고'의 업적을 기려 붙여졌다.
우리도 온 국민이 사랑하는 '꿈의 도서관'을 열망하는 것이 사치인가. 지금 도서관의 공공성이 여기저기서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도서관 운영은 수십년째 교육부와 지자체로 나뉘어 총체적 난맥을 보인 지 오래다. '손톱 밑 가시'가 아니라 '뇌수 속의 종양'이라 해도 틀리지 않는다. 국립도서관장의 지위도 그중 하나다.
국립중앙도서관장의 경우 2년마다 바뀐다. 중앙부처 1급 상당의 공무원이 순환보직하는 형태로 근무한다. 도서관 사서 출신이나 명망 있는 전문가가 중앙도서관장을 한 예는 지금껏 한 차례도 없다. 그저 중앙부처 공무원이 지나쳐가는 자리에 불과하다. 또 다른 국립도서관인 국회도서관장은 정치권 몫이다. 국회의장은 특별한 하자가 없는 한 야당이 추천한 인사를 임명한다. 임기는 보통 2년이다. 국회도서관장 자리는 국회 권력을 나누기 위한 협상의 결과물인 셈이다. 국회도서관장 임명권을 돌려달라는 국민들의 요구에도 정치권은 별 반응이 없다. 미국 의회도서관장의 경우 독립적인 위상에 따라 철저히 무당파성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모두가 인정할 만한 석학들이 관장을 맡는다. 1987년 미국의회도서관장에 임명된 프린스턴대 교수 출신인 역사학자 제임스 빌링턴은 최근까지 4반세기 동안 정권이 여러 차례 바뀔 때에도 굳건히 자리를 지켰다.
이에 반해 우리 도서관은 밥그릇 대상이며 이기주의의 산물이다. 국립도서관은 관료와 정치권이 나눠 먹고, 지역 공공도서관은 각 부처가 나눠 먹는 현실에 국민은 염증을 느낀다.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회도서관장의 임명권을 국민에게 돌려달라는 것은 너무도 온당한 주장이다. 이에 '지성의 전당'에서 '관피아'들이 조속히 사라지길 기대한다. 현재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제4기가 꾸려져 제2차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2014~18년)을 전개하고 있다. 2차 계획기간 동안 '도서관체계 일원화'와 더불어 국립도서관장의 임명과 위상 문제도 해결과제다.
이규성 사회문화부 선임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