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새정치연합 "해경 해체 지극히 자극적인 충격 요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은 19일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박 대통령의 사과는 있었지만 진단은 미흡하고 처방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박광온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해양경찰청 해체와 국가안전처를 신설하겠다는 처방을 내놨는데, 해경 해체는 지극히 자극적이고 충격적인 요법"이라며 "모든 책임을 해경에 떠넘기는 듯한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고 안전이라는 이름으로 국가안전처라는 실효성 없는 '공룡기구'를 만들어 내는 것 아닌가 의문을 갖게 한다"고 밝혔다.

그는 "새정치민주연합은 그동안 일관되게 사태 수습,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그리고 다음에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 대책 마련의 순서를 강조해 왔다"면서 "하지만 담화의 내용은 우리가 말한 순서와는 다소 다르게 충격 요법으로 해경 해체라는 안을 들고 나온 것이 본질적으로 이 사태에 접근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고 했다.


박 대변인은 또 "국가 재난의 최종 컨트롤타워는 청와대"라며 "국가안전처 총리실 산하에 두겠다고 하는 것은 세월호 참사에서 그렇게도 문제됐던 책임, 무책임 논란을 스스로 자처하는 것 아닌가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어 "국정 운영 철학과 기조를 바꾸겠다는 의지 표명이 없었던 것도 아쉬운 점"이라며 "지금처럼 모든 것을 기업의 이윤 추구에 희생시키는 그런 국정 운영 방식으론 제2의 세월호를 과연 막을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대국민 담화 이후 박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 행사 참여차 출국하는 데 대해선 "과연 이 시점에 꼭 그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출국해야 하는지 국민이 공감하기 어려워하고 있다"며 "더구나 원전은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세계가 가장 위험한 잠재적 위험물로 규정하고 그것이 생명의 안전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고 말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금 세월호 사태에서 우리가 얻는 교훈은 이윤보다는 생명과 안전이 우선돼야 한다는 기본적 철학에 대한 인식의 공유"라고 덧붙였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