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데스크칼럼]국가개조와 '네 탓이오'

시계아이콘01분 51초 소요

[데스크칼럼]국가개조와 '네 탓이오' 이명재 사회문화부장
AD

아직도 바닷속에 최소한 90명의 실종자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세월호 희생자와 가족들을 위한 모금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국민의 정성을 모아 이제 희망을 보여주자는 얘기도 빠지지 않는다. 예전부터 늘상 봐 왔던, 익숙한 풍경이다. 참사가 터지면 항상 그 마지막은 성금 모금이었고, 그걸 전하는 것으로 우리 사회는 그 기억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희망을 찾았다.


그러나 아직은, 아직은 이르다. 성금 모금을, 희망을 얘기하기에는 아직은 너무 이르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희망이 아니라 오히려 절망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더 깊이 절망해야 한다. 지금은 머리를 풀어 헤치고 가슴을 치며 더 목 놓아 울어야 할 때다. 지금 섣부르게 희망을 얘기하는 것은 희망이란 이름의 거짓 희망이며, 절망으로부터 너무 일찍 탈출하려는, 그럼으로써 진정한 희망을 가로막는 희망의 적이다.

성금 모금은 우리가 그 절망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무책임한 '탈출' 행위다. 아무리 선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도 성금 모금은 결국은 죽은 이들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산 자, 남은 이들을 위한 것이다. 그것은 결국 산 자들이 고통스런 기억으로부터 벗어나 일상으로 복귀하겠다는 의식(儀式)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희생된 이들과 이렇게 빨리 고별을 해서는 안 된다. 지금은 그들이 내질렀을 비명과 고통을, 물이 차오르는 물속에서 오지 않는 구조의 손길을 기다렸을 그 공포의 순간들을 더욱 선명하게 기억해야 할 때다.


그 호곡(號哭)과 비탄과 끔찍한 기억의 고통 속에 적나라한 우리 자신의 맨 얼굴과 직면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세계 10위권의 경제강국이니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이뤄낸 보기 드문 성공사례니 따위의 환상과 착각과 자만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더 깊은 바닥으로 내려가야 하며 거기에서 우리 자신이 무엇인지, 어디에 있는지 진상과 실체를 발견해야 한다. 그럴 때에야 우리는 비로소 새로 출발을 할 수 있게 될 것이기에 성급한 성금 모금으로 지금 우리 자신을 쉽게 위로하려 해서는 안 된다.

온 국민 성금 모금 식의 운동의 또 하나의 함정, 그것은 '책임과 권한의 사유화, 반성과 속죄의 사회화'다. 우리 중 그 누구도 세월호 참사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통절한 자기반성과 참회는 우리 모두의 몫이다. 이 비극에 대한 '내 탓이오'의 반성, 누구도 그 짐으로부터 벗어날 수는 없다. 그러나 그 내 탓이오가 누구보다 처절하게 반성해야 할 이들, 자기 가슴을 망치로 내려치며 뉘우쳐야 할 이들에게 면죄부를 주는 것이 돼서는 안 된다. 후안무치한 이들로 하여금 내 탓이오의 순수한 마음과 온정 뒤편에 숨어서 남몰래 웃음을 짓게 해서는 안 된다.


지금 내 탓이오가 가장 필요한 이들이 있다면 이른바 '국가 대개조'를 하려는 이들일 것이다. 공장에서 규격화된 물건을 찍어내는 것과 같은 '개조' 식의 발상에 대한 평가는 차치하고, 그 개조 계획이 최소한이라도 성공을 하려면 그건 그 출발점을 '네 탓이오'가 아닌 내 탓이오에서 잡는 것이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자신과 주변의 개조가 먼저다. 무엇보다 대통령 권한 책임에 대한 '비정상적 인식의 정상화'가 먼저 있어야 한다. 그것은 그 자신이 하늘에서 지상으로 내려오는 것에서부터 가능할 것이다. '하늘색' 옷으로써 천상의 존재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듯이 하늘에서 이 땅으로 내려와 발을 딛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불가능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겠다는 듯 온갖 기괴하고 저급한 행태들을 보여주는 그 주변 사람들과 함께 국가개조를 할 수 있다는 인식이야말로 재난이고 참사라는 것을 깨닫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과거의 구폐(舊弊)보다 그 자신들에 의한 신폐(新弊)가 '적폐(積弊)'의 핵심이 아닌지 돌아보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세월'이란 망각의 늪이 자신들을 구원할 것이라는 헛된 기대를 품는 것보다 세월호로부터 진정으로 벗어나는 길이 될 것이다.






이명재 사회문화부장 prome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