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김영식 기자]LG유플러스와 팬택의 갈등 배경에는 단말기 출고가 인하에 따른 부담을 누가 지느냐에 대한 입장차가 있다. 도와주겠다는 LG유플러스의 결정에 팬택이 오히려 곤혹스러워하는 이유는 LG유플러스가 기존에 쌓인 재고 물량에 대한 가격 인하분을 얼마나 책임질 것인지 분명히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먼저 발표해 버렸다는 데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기 출고가를 인하할 경우, 제조사는 이통사가 보유한 재고 수량과 출고가 인하분에 따라 재고 보상금을 부담하게 된다. 이번에 LG유플러스가 밝힌 것처럼 '베가 시크릿업'의 출고가를 95만4800원에서 37% 인하한 59만9500원에 판매한다면, 인하 전 출고가로 구입했던 기존 재고분은 인하된 가격에 따른 차액 35만5300원을 해결해야 한다. 이는 이통사와 제조사가 나눠 부담하지만, 상당부분은 제조사가 지게 된다는 설명이다.
팬택 관계자는 "출고가 인하가 판매에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출고가를 내리게 되면 일시적으로 재고 보상 금액이 지출돼야 하고, 선 구매 물량도 약속 되어야 하기에 반대했었다"고 말했다. 출고가를 내리더라도 통신사들이 선구매 등 후속조치를 잘 해주면 팬택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가격 인하에도 판매량이 늘지 않으면 그 재고분의 보상 부담은 고스란히 팬택에게 돌아온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 측은 "출고가 인하에 따른 팬택의 비용부담도 완화시켜주기로 했다"는 것 외에는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부담할 것인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이에 대해 팬택 측은 "현재 재고 보상금 액수에 대해서는 협의가 진행되고 있고, 아직 선구매 물량에 대해서도 협의가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팬택 측은 "출고가 인하는 SK텔레콤·KT와 조율도 필요하며, 다른 2사와 재고보상 처리나 선구매 물량 확정 등 후속조치를 모두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가 팬택을 배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오는 것도 이 부분이다. 영업정지 기간이 1주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실적을 올리기 위해 무리수를 뒀다는 것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최근 경쟁사와 예약가입 진실공방을 벌였던 LG유플러스가 '합법적 보조금'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LG유플러스가 단말기 출고가를 공식 인하하는 방법을 통해 주말 가입자 유치 실적을 최대한 올리는 데 명분을 얻으려는 의도가 숨겨져 있다는 것이다. 다른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중소 제조사와의 상생은 안중에도 없이 사실상 시장 교란행위를 하고 있다"며 비난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김영식 기자 gra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