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軍 슈퍼컴퓨터 첫 도입… 北미사일 발사 전 포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軍 슈퍼컴퓨터 첫 도입… 北미사일 발사 전 포착 사진은 기사와 상관없음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우리 군이 처음으로 슈퍼컴퓨터를 도입한다. 그동안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후 궤적탐지만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미사일을 발사하기 전에 미리 포착할 수 있게 됐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18일 보안당국에 따르면 국방부는 올해까지 272억원을 투자해 '제777부대(일명 쓰리세븐 부대)'에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기로 했다. 한ㆍ미 연합으로 운용 중인 777부대는 통신감청을 중심으로 신호정보(시진트)를 수집하는 부대다. 국정원은 인간 정보(휴민트), 군 정보사령부는 영상정보(이민트)를 담당하고 있다.

국방부는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3개월간 서울대에 사업추진방법 등 연구용역을 맡겼다. 군은 이를 바탕으로 내달부터 시설공사와 슈퍼컴퓨터 선정에 들어갈 예정이다.


슈퍼컴퓨터를 도입하면 777부대 요원들에게 의존했던 정보처리능력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슈퍼컴퓨터는 백두정찰기 등에서 수집된 첩보중 미사일, 핵, 성명, 조직 등 주요 단어를 실시간으로 정밀 분석한다. 777부대는 이달안에 테라 플롭스(Tflops) 요구성능 조건을 결정할 계획이다. 플롭스는 1초당 1조회 연산수행을 할 수 있는 단위를 말한다.


여기에 추가로 도입되는 백두정찰기에는 계기정보(Fisint) 기능을 추가했다. 계기정보는 전자장비를 통해 주고받는 신호를 탐지하는 것을 말한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의 경우 북한 군부의 주 컴퓨터에서 미사일 발사대에 어떤 명령을 내리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호 탐지 가능거리는 370㎞로, 동창리 미사일기지와 영변 핵시설이 포함된다.


한편, 북한은 단거리 로켓 25발을 발사한 강원도 원산 인근 갈마반도 지역에 10여대의 로켓 발사차량을 대기해놓고 있는 것으로 군당국은 파악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여전히 (로켓을)추가 발사할 가능성이 있어 그 지역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감시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더는 군사적 긴장과 주변국에 불안감을 조성하는 행동은 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