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정부가 12일 발표한 '동북아 오일허브 조성' 대책에 대해 정유업계에서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일단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며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정부는 이날 장기적으로 60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하는 '동북아 오일허브 추진 대책'을 발표했다. 오일허브 사업은 대규모 탱크터미널을 건설해 석유물동량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석유거래소 등을 지어 유류 트레이딩과 저장 및 저장시설 임대 사업을 하는 것이다.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정유사는 기본적으로 이 저장시설을 이용해 원유와 석유제품 재고 활용도를 높이고 석유비축 및 공급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꾀할 수 있다"면서 "특히 동북아 오일허브를 통해 우리나라가 동북아의 석유거래 중심지가 된다면 새로운 석유사업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유업계는 정부가 제시한 장밋빛 전망에 대해서는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관건은 우리나라의 오일허브가 글로벌 시장에서 그만한 규모와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냐는 것이다.
또 다른 정유업계 관계자는 "싱가포르의 저장시설이 5000만 배럴 정도라고 나왔는데 실제로는 그보다 규모가 큰 걸로 알고 있고 중국의 경우도 매년 3000만 배럴씩 증가하고 있다"면서 "싱가포르와 중국 등 주요 해외 국가들의 물류기지와 비교해 경쟁력이 크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 영향력이 있는 수치인지 의구심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과 말레이시아 등도 현재 저장시설을 짓고 있다"면서 "우리가 뒤늦게 쫓아가는 것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특히 정유업계에선 현재 실적 악화 상황에서 확신이 없는 사업에 투자하기가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실적 악화로 인해 한 마디로 '암흑기'인 정유업계는 지금의 사업을 유지하는 것에만도 급급한 상황"이라며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은 몰라도 새로운 사업에 뛰어든다는 것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