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5일 유엔에서 우리 외교부 장관으로는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직접 제기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잘 한 일로 한국 외교부,한국 정부가 ‘조용한 외교’라는 알을 깨고 나온 첫 걸음이라는 점에서 환영한다.
일본은 과거에도 그랬지만 아베 신조 총리 정부 들어 과거사를 부인하려는 경향을 보여왔다.일본 제국주의 식민통치와 일본 제국군을 위한 여성 성노예를 동원했다는 엄연한 '사실'을 부정하려는 속내를 감추지 않고 있다.
1993년 자기네들 말로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조차 다시 검증하겠다는 게 일본 정부다. 우리로 치면 교육부에 해당하는 문부과학성의 부대신은 고노담화를 '날조'라고도 했다. 이런 일본을 놓고 이스라엘에서 명예 시민증을 받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같은 사람이 나올 것을 기대하는 것은 환상이다. 이런 일본 정부를 놓고 조용한 외교를 하겠다면 그것은 대단한 착각이 아닐 수 없다.
다행인 것은 우리 정부가 드디어 국제무대에서 일본과 정면 대결을 벌이기로 작심하고 이를 실천에 옮겼다는 점이다.더 중요한 것은 ‘용어’의 선택이었다. '일본군 위안부'라는 말은 한마디로 가당찮다.누가 누구를 위안한다는 말인가? ‘위안부’라는 말은 철저하게 일본의,일본군인의 관점에서 만든 용어다. 위안을 한다는 사람이라면 네덜란드 출신 호주인 피해자 오헤른 할머니가 ‘잊혀진 홀로코스트’라고 표현했겠는가?
강제로 끌려가서 치욕스런 삶을 살고 통한을 품고 세상을 떠난 많은 피해자들에게는 ‘성 노예(sexuzl slavery)’라는 말조차 완곡한 표현이다. 정치인과 외교관들은 그런 말조차 국제 외교무대에서 입에 담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여왔다. 윤 장관은 일본 제국군이 징발한 ‘이른바’ 위안부라는 ‘성노예’라고 못을 박았다.
앞으로는 위안부라는 말을 쓰지 말았으면 한다. 그것은 가해자 일본이 실상을 덮기 위해 만든 엄폐물이기 때문이다. 남은 것은 일본의 반응에 대한 우리의 대응이다. 외교부를 비롯한 한국 정부는 더 이상 피해자와 피해국인 한국과 중국,동남아제국을 모욕하지 못하도록 국제사회와 연대해서 이 문제를 푸는 지혜를 보여줄 것을 당부한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