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공공기관 본사 부동산이 대거 매물로 나온다. 공공기관 정상화 계획에 따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전력 등 부채감축 대상 주요 기관들이 정부에 본사 매각 방안을 보고했다.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이 기존에 수립한 계획을 다시 한 번 부각한 것이어서 새롭지는 않다. 공공기관들의 매각예정 부동산은 지난해 6월보다 2곳이 늘어난 수준이다.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이전대상기관으로 지난해 9월 최종 승인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지방이전 대상 기관들이 보유한 매각대상 물량은 총 54곳, 246만4057㎡다. 여의도 면적(290만㎡)의 84%에 달한다. 공공기관들이 자체 계산한 매각 대상 부동산의 장부가격만 총 5조7101억원이다. 일반적으로 시가의 80% 가량을 장부가격으로 정하는 점을 감안하면 시가는 최소 7조원을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54개의 매각대상 부동산 중 집중 부채감축대상 기관 물량은 8개 부동산이 해당된다.
한국전력공사(감정가 2조153억원)를 비롯, ▲한국도로공사(추정가격 2973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오리사옥(감정가 3524억원) ▲LH 정자사옥(감정가 2783억원) ▲광물자원공사(감정가 743억원) ▲한국장학재단(추정가격 92억원) ▲한국가스공사(추정가격 844억원) ▲한국석유공사(감정가 724억원) 등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렇게 한꺼번에 집중적으로 부동산을 내놓으며 공급과잉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가 예견된다는 것이다. 공공기관의 현재 입지가 비교적 알짜인 경우가 많아 관심이 높지만 조기매각을 서두를 경우 시장에서는 가치가 평가절하될 수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본사를 팔아 새 사옥 건설비용으로 써야한다는 전제조건을 감안하면 부채줄이기라는 목표와는 사뭇 다른 사안이 슬쩍 끼워넣어진 셈이 된다. 공공기관의 재무상태를 개선시키려는 노력은 필요하지만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주면서까지 부채감축 노력을 강조해야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