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에서] '시간'과 '소통'이 집단요구 해결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서울 서초구 내곡보금자리지구가 시끌벅적하다. 4400가구의 주택이 들어서는 주택단지 한 귀퉁이에 자동차 정비공장이 들어서게 되면서다. 주민들은 오염물질 발생이 우려된다며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더구나 내년 9월 개교하는 초등학교와 정비공장의 거리가 45m에 지나지 않아 아이들이 오염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구청이 정비공장 터의 용도변경이나 건축허가 과정에서 잘못한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나선 상태다.


급기야 박원순 서울시장이 개입하기 시작했다. 박 시장은 지난해 12월31일 현장을 찾아 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은 데 이어 2일 다시 간담회를 열어 자초지종을 따졌다. 이 자리에서 내곡지구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은 정비공장 터가 당초 경관녹지지역이었으나 주차장용지로 바뀌게 된 과정이 석연찮다고 말했다. 또 초등학교와 유치원이 인접한 땅에 정비공장이 포함돼 있는데도 서초구청이 건축허가를 내줬다는 점도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SH공사와 서초구청은 인허가 과정에서 특혜는 없었으며 주차장용지에 부대시설로 정비공장이 들어서는 것은 적법하다고 해명했다. 양측 주장에는 커다란 간극이 있는 것이다.


터파기 공사를 진행 중인 위본모터스로서는 당혹스러울 이 집단민원을 어떻게 풀어야 할 것인가. 박 시장이 답을 내놓았다. 감사실에 인허가 과정 전반을 감사하도록 지시했다. 또 입주예정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토록 했다. 진상을 규명한 후 해법을 모색하자는 것이다.


사회적 갈등은 쉽게 해결하기 어렵다. 다만 해결방법은 어떻게 보면 간명하다. 비교적 간단한 사안이라면 더욱 그렇다. 양측이 의혹을 풀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일일이 따져보면 된다. 문제는 시간. 사업주체로서는 비용이 가중될 수 있다. 하지만 상대를 뭉개고 사업을 진행한 후 상시적 반발을 사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 '행정적 소통'을 촉진해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답이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