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2035년 원전 비중 29% 수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정부가 2035년 원전 비중을 29% 수준으로 잡았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1%로 설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2차 국가 에너지기본계획 정부안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 보고했다.

가장 관심을 모았던 원전 비중은, 민관 워킹그룹이 지난 10월 권고한 22~29% 가운데 상한선인 29%로 결정됐다. 지난 정부에서 수립한 원전 비중 목표치는 41%였다.


산업부는 "원전의 과도한 확대와 급격한 축소를 모두 지양하되, 원전의 역할을 인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 원전 비중은 26.4%로, 전국에 23기가 들어서 있다. 건설 중이거나 건설 계획이 수립된 원전은 11기다.


이번 정부안대로 2035년 원전 비중을 29%선에 맞추려면 원전 추가 건설이 필요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2035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는 1차 에너지기본계획의 목표치와 동일한 11%를 유지하기로 했다.


에너지 관련 전문기관이 참여해 산정한 에너지 수요 전망 정부안에 따르면 2035년까지 총에너지 소비는 연평균 0.9%씩 증가할 전망이다. 1차 에너지기본계획 때는 연평균 1.4% 증가할 것으로 봤었다.


전력은 연평균 2.5% 늘어 에너지원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1차 국기본 당시 연평균 2.2% 증가할 것으로 본 것과 0.3%포인트 차이가 있다.


정부는 총에너지 소비 가운데 건물ㆍ수송 등 부문별 절감 노력을 통해 2035년까지 전망치 대비 13.3%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전력은 에너지 가격 구조의 개선과 전기요금 합리화 등을 통해 15%를 감축하는 등 최대한 증가세를 억제하겠단 방침이다.


정부는 11일 한국전력 대강당에서 공청회를 갖고 국민 의견 수렴에 나선다. 이날 패널 토의에는 산업계ㆍ시민사회ㆍ학계 전문가가 정부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낼 예정이다.


이어 공청회 결과를 바탕으로 에너지위원회ㆍ녹색성장위원회 등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의견 수렴 절차를 추가로 거친 후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이 최종 확정된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