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용 "GCF 韓 유치는 국제사회의 인정…한국인도 GCF 지원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4일 GCF 사무국 공식 출범
'기후변화 대응 방향과 GCF의 역할 및 비전' 토론회 열려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김용 세계은행(WB) 총재 "한국이 녹색기후기금(GCF)를 유치한 것은 글로벌 사회가 인정한 것이다. 한국 사람들도 GCF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줘야 한다."

크리스티아나 피겨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GCF는 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 지금까지 선진국과 개도국은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있어 상충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들 사이에 다리가 돼야 하고, 독립적으로 움직이던 금융과 기후변화 문제를 연결하는 다리가 돼야 한다."


헬라 쉬흐로흐 GCF 사무총장 "국제기구로서 강력한 협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 각국과 협조해 나갈 것이다. 각국의 정책입안자들을 설득해 청정연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

4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GCF 사무국 출범식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된 '기후변화 대응 방향과 GCF의 역할 및 비전' 토론회에서 주요 국제기구의 대표들은 GCF의 역할과 방향, 또 앞으로 국제사회가 기후 변화 문제 대응에 있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김 총재는 "아프리카나 인도 남부 지역의 최대 50%의 인구가 빈민"이라면서 "그들은 우리가 탄소를 배출한 것도 아닌데 왜 우리가 벌을 받아야 하냐고 반문한다"고 말했다. 이어 "끊임없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면서도 개도국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면서 "이들 국가에 대한 재정지원을 GCF가 해야 한다"면서 GCF의 역할을 강조했다.


김 총재는 또 한국인들의 GCF 지원도 촉구했다. 그는 "GCF 본부가 왜 한국에 있는지를 알아달라"면서 "한국이 GCF 사무국을 유치한 것은 글로벌 사회의 인정을 받은 것인 만큼 한국인도 적극적으로 (GCF를)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앞으로 미래를 내다보고, 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한국의 지도력을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피겨레스 UNFCCC 사무총장은 "GCF가 선진국과 개도국, 금융과 기후변화 문제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또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문제 해결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국가간의 협력과 민관가의 협력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는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회로 진행됐고, 패널로 참석할 예정이던 크리스티나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기상 문제로 비행기 연착 등의 문제로 인해 토론에 참석하지 못했다.




송도(인천)=이윤재 기자 gal-r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