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권문식 현대차 연구개발사장 경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정몽구 회장, 품질문제 회초리 들어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최근 잇따른 차량 품질문제에 칼을 빼들었다. 정 회장의 '품질경영'을 뒷받침하는 남양연구소가 이번 인사혁신의 중심이다.


11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정 회장은 이날 권문식 현대차 연구개발본부장(사장)의 경질 등을 포함한 인사를 발표했다. 권 사장이 연구개발본부장에 선임된 지 일 년여 만이다. 권 사장은 미국 연비과장 사태 직후인 지난해 10월 현대케피코ㆍ현대오트론에서 현대기아차 연구개발을 책임지는 연구개발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번 인사는 미국 연비과장 사태 직후에도 대규모 리콜과 품질논란이 지속되는 데 대한 문책 및 기강확립 차원의 조치로 풀이된다.


현대기아차는 올 들어 주요시장인 미국 등에서 연쇄리콜이 잇따르고 있다. 차종 또한 프리미엄급인 제네시스에 이르기까지 주요차종을 망라한다.

특히 연비과장 사태가 발생한 미국시장에서는 지난 4월 브레이크등과 에어백 결함으로 무려 13개 차종 187만대에 달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리콜을 단행했다. 이후에도 8월에 서스펜션(충격흡수장치) 부식 우려로 쏘나타와 그랜저 24만대를 리콜했고, 최근 브레이크액 문제로 제네시스 2만여대에 대한 리콜을 발표했다.


중국 시장에서도 지난 10월 2만3000여대의 리콜을 진행했다. 최근 18개월래 내수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리콜 대수는 77만9353대에 달한다.


올 들어 내수시장에서 물새는 싼타페 등 품질에 대한 고객들의 불만이 잇따르고 있는 것도 이번 인사의 한 배경으로 작용했다.


내달 신형 제네시스의 국내 출시와 유럽 진출 등을 앞둔 현대기아차로서는 수뇌부 교체 등을 통해 기술도약에 대한 의지를 다잡아야 할 시기인 셈이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