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닥터 둠' 루비니 "고령화·연금, 韓 경제에 부담 요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정확히 예측해 '닥터 둠(Dr. Doom)'이라는 별칭을 얻은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가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 "고령화 및 연금 등으로 인한 재정 부담이 한국경제에 주요한 도전요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루비니 교수는 4일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만나 국내·외 경제 현안에 대해 논의하면서 "한국이 정부부채, 재정수지 측면에서 재정건전성을 보유하고 있고, 이에 기초한 4월 추경이 시의 적절했다"고 말했다. 또 "최근 미국의 양적완화(QE) 축소는 미국경제의 회복을 의미한다"면서 "대미 교역규모가 큰 한국경제에 긍정적 효과가 있고,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 재유입과 달러화강세가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닥터 둠' 루비니 "고령화·연금, 韓 경제에 부담 요인"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서울 여의도 렉싱턴 호텔에서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 뉴욕대 교수와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
AD


현 부총리는 "2017년에 균형재정 수준을 달성할 계획"이라면서 "고령화에 따른 재정부담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전달체계 개편, 정년연장, 일을 통한 복지 등을 통해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환율 문제에 대해 현 부총리는 "기본적으로 펀더멘털에 의해 결정된다"고 전제하면서 "환율의 수출에 대한 민감도가 과거에 비해 낮아졌고, 외환시장 변동성은 거시건전성 조치 및 지역 금융안전망 등을 통해 충분히 대처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루비니 교수는 중국과 일본 경제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부양을 위해 과도한 고정 자본 투자를 해왔으나 이는 지속가능하지 않다"면서 "향후 중국경제는 경착륙과 연착륙의 중간인 6~7%의 성장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대해서는 "재정투입 등을 통한 경기 대응은 대체로 효과적이었지만 국가채무가 과다한 상황에서 구조개혁을 통한 잠재 성장률 제고 없이는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현 부총리는 중국과 일본 경제에 대해 "각국의 구조개혁 등 정책적 노력들이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종=이윤재 기자 gal-r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